더파워

2025.07.12 (토)

더파워

KB금융, 저출생 극복 기여로 감사패 수상…“아이 키우기 좋은 금융그룹 만들 것”

메뉴

경제

KB금융, 저출생 극복 기여로 감사패 수상…“아이 키우기 좋은 금융그룹 만들 것”

이경호 기자

기사입력 : 2025-07-10 10:01

양종희 KB금융그룹 회장과 주형환 저출생고령사회위원회 부위원장이 지난 9일 여의도 KB국민은행 신관에서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양종희 KB금융그룹 회장과 주형환 저출생고령사회위원회 부위원장이 지난 9일 여의도 KB국민은행 신관에서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더파워 이경호 기자] KB금융그룹이 저출생 극복과 일·가정 양립 환경 조성에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아 대통령 직속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로부터 감사패를 받았다.

KB금융은 9일 KB국민은행 여의도 신관에서 열린 전달식에서 양종희 회장과 주형환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 부위원장이 참석한 가운데 감사패를 수여받았다고 10일 밝혔다. 저출생 대응을 위한 민간 차원의 노력이 본격화되고 있는 가운데, 금융권에서는 KB금융이 선도적인 역할을 했다는 평가다.

현재 한국 사회는 세계 최저 수준의 출산율에 직면해 있다. 통계청에 따르면 2023년 합계출산율은 0.72명, 2024년 0.75명으로 바닥을 다졌지만, 4월에는 0.79명으로 반등세를 보이기도 했다. 이러한 상황에서 기업의 역할과 책임이 더욱 부각되고 있다.

KB금융은 ‘일과 가정의 양립’을 핵심 경영 철학 중 하나로 삼고, 특히 출산휴가와 육아휴직 제도의 사각지대에 놓여 있는 소상공인을 위한 지원책을 강화해 왔다. 지난해에는 서울시를 포함한 전국 주요 지자체와 협력해 총 135억 원 규모의 출산·육아 친화 사업을 추진했다. 이 사업은 ▲출산휴가·육아휴직 대체인력 인건비 지원 ▲아이돌봄 서비스 제공 ▲출산·육아 응원금 지급 등 맞춤형 프로그램으로 구성됐다.

계열사인 KB국민은행도 임직원 복지를 대폭 강화했다. 2023년 말 금융권 최초로 도입한 ‘재채용 조건부 퇴직제도’는 육아휴직 2년 사용 후 자발적 퇴직 시 3년 후 원직 복귀를 보장해 최대 5년간의 육아기간을 제공한다. 이 제도는 경력 단절을 최소화하고 직장 복귀 장벽을 낮추는 데 기여하고 있다.

이외에도 ▲자녀 1명당 최대 2,000만 원의 출생장려금 ▲난임치료비 1,000만 원 지원 ▲배우자 출산휴가 확대(10일 → 20일)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제도 대상 확대(9세 이하 → 12세 이하) 등 양육친화적 제도도 강화했다. 남성 직원의 육아휴직 사용도 증가세로, 2022년 85명에서 2024년 152명으로 늘었다.

KB금융 관계자는 “지속가능한 미래를 위해 저출생 문제 해결은 사회 전체의 공동 과제”라며 “앞으로도 가족친화적인 기업 문화를 조성하고, 저출생 극복을 위한 실질적인 제도를 지속 확대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이경호 더파워 기자 lkh@thepowernews.co.kr
<저작권자 © 더파워,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주식시황
항목 현재가 전일대비
코스피 3,175.77 ▼7.46
코스닥 800.47 ▲2.77
코스피200 428.07 ▼0.35
암호화폐시황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59,681,000 ▲284,000
비트코인캐시 706,000 ▲6,000
이더리움 4,025,000 ▲11,000
이더리움클래식 25,060 ▲80
리플 3,813 ▲52
퀀텀 3,082 ▲8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59,655,000 ▲316,000
이더리움 4,027,000 ▲13,000
이더리움클래식 25,080 ▲90
메탈 1,079 ▼13
리스크 600 ▼8
리플 3,812 ▲49
에이다 988 ▲21
스팀 197 ▲1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59,700,000 ▲320,000
비트코인캐시 706,000 ▲5,500
이더리움 4,027,000 ▲15,000
이더리움클래식 25,040 ▲70
리플 3,811 ▲51
퀀텀 3,115 0
이오타 260 ▲1
모바일화면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