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파워

2025.07.12 (토)

더파워

전주시 '축구장 197개 면적' 장기미집행 도시공원 부지 매입

메뉴

전국

전주시 '축구장 197개 면적' 장기미집행 도시공원 부지 매입

이강율 기자

기사입력 : 2025-07-10 15:56

열악한 재정 여건 속 지방채 발행 등 총 2706억원 투입 도시공원 확보
미래 세대 위한 녹지 공간 확보를 위해 장기미집행 도시공원 부지 중 사유지 1.4㎢ 매입
산책로 등 공원의 필수이용시설 우선 확보로 시민들의 공원 이용 불편 최소화 도모

▲전주시 이영섭 자원순환녹지국장이 장기미집행 조시공원 부지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사진=전주시)
▲전주시 이영섭 자원순환녹지국장이 장기미집행 조시공원 부지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사진=전주시)
[더파워 이강율 기자] 전주시는 시민의 삶의 질을 높이고, 도시의 녹지 인프라를 지키기 위해 장기미집행 도시공원 부지 중 꼭 필요한 부지를 매입한다고 10일 밝혔다.

전주시는 공공녹지를 보존하고 도시 난개발을 차단하기 위해 현재까지 열악한 재정 여건 속에서도 총사업비 2706억 원을 투입해 장기미집행 도시공원 부지 중 축구장 197개 면적에 해당하는 1.4㎢ 규모의 부지를 매입했다.

이는 장기미집행 도시공원 부지를 지키지 않으면 공원의 기능을 상실할 수 있다는 절박한 상황 속에서 내린 결정으로, 매입된 부지 규모는 전체 장기미집행 도시공원 부지(14.3㎢) 중 국공유지(4.3㎢)를 제외한 나머지 사유지(10㎢)의 약 14%에 해당된다.

세부적으로 시는 덕진공원 0.668㎢, 효자묘지공원 0.165㎢ △인후공원 0.168㎢ △기린공원 0.063㎢ △산성공원 0.049㎢ △완산공원 0.056㎢ △다가공원 0.01㎢ △화산공원 0.064㎢ △천잠공원 0.034㎢ △황방산공원 0.122㎢ △삼천공원 0.001㎢ 등 도시공원 부지를 단계적으로 확보했다.

특히 시는 부지 매입이 반드시 필요하지만 아직 협의가 완료되지 않은 일부 사유지에 대해서는 지난달 토지수용재결을 신청하고 현재 후속 행정절차를 이행하고 있다. 이를 통해 시는 보상 지연으로 인한 실효 사태를 막고, 도시공원의 공공성을 확보하겠다는 것이다.

또한 시는 한정된 재원을 고려해 공원의 산책로 등 필수 이용 시설을 우선 확보함으로써 공원의 핵심 기능은 유지하면서도, 시민의 이용 불편을 최소화하고 난개발도 사전에 차단하고 있다. 이러한 전략은 매입 부지의 규모를 최소화하면서도 시민이 실질적으로 체감할 수 있는 공원 기능을 지키기 위한 선택으로 평가받고 있다.

이와 함께 시는 현재까지 확보한 부지를 활용해 각종 공모사업을 적극 추진하고 있다.

현재 중앙정부 공모사업에 선정된 주요 사업은 △동부권 반다비 체육센터 건립(덕진공원) △덕진공원 대표관광지 육성사업(덕진공원) △완산권역 산불대응센터 신축(완산공원) △국립후백제 역사문화센터 건립(기린공원) 등으로, 시는 공모사업에 선정된 부지들을 중심으로 생활기반시설과 도시숲 조성, 문화체험 공간 등 시민 체감형 프로젝트를 추진하고 있다.

시는 앞으로도 중앙정부와 협력해 신규 공모사업을 발굴하고, 민간특례사업 등을 통해 재정 부담을 분산할 계획이다. 동시에 나머지 부지에 대해서는 공원 해제 이후에도 질서 있는 점진적 개발을 유도함으로써 도시공간을 체계적으로 관리해 나갈 방침이다.

시 관계자는 “지방채 발행이라는 재정적 부담을 감수하면서까지 도시공원을 지키는 이유는 바로 미래세대를 위한 투자이기 때문”이라며 “도시의 품격과 환경을 다음 세대에 온전히 물려주기 위한 장기적 시각에서 접근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강율 더파워 기자 kangyulee@gmail.com
<저작권자 © 더파워,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주식시황
항목 현재가 전일대비
코스피 3,175.77 ▼7.46
코스닥 800.47 ▲2.77
코스피200 428.07 ▼0.35
암호화폐시황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59,623,000 ▲145,000
비트코인캐시 691,000 ▼5,500
이더리움 3,991,000 ▲1,000
이더리움클래식 24,620 ▼120
리플 3,773 ▼4
퀀텀 3,038 ▲5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59,578,000 ▲158,000
이더리움 3,988,000 ▼4,000
이더리움클래식 24,610 ▼110
메탈 1,073 ▼6
리스크 619 ▼3
리플 3,769 ▼6
에이다 964 ▼3
스팀 193 ▼2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59,600,000 ▲160,000
비트코인캐시 691,500 ▼3,500
이더리움 3,989,000 0
이더리움클래식 24,500 ▼50
리플 3,770 ▼7
퀀텀 3,037 0
이오타 253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