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히 시는 부지 매입이 반드시 필요하지만 아직 협의가 완료되지 않은 일부 사유지에 대해서는 지난달 토지수용재결을 신청하고 현재 후속 행정절차를 이행하고 있다. 이를 통해 시는 보상 지연으로 인한 실효 사태를 막고, 도시공원의 공공성을 확보하겠다는 것이다.
또한 시는 한정된 재원을 고려해 공원의 산책로 등 필수 이용 시설을 우선 확보함으로써 공원의 핵심 기능은 유지하면서도, 시민의 이용 불편을 최소화하고 난개발도 사전에 차단하고 있다. 이러한 전략은 매입 부지의 규모를 최소화하면서도 시민이 실질적으로 체감할 수 있는 공원 기능을 지키기 위한 선택으로 평가받고 있다.
이와 함께 시는 현재까지 확보한 부지를 활용해 각종 공모사업을 적극 추진하고 있다.
현재 중앙정부 공모사업에 선정된 주요 사업은 △동부권 반다비 체육센터 건립(덕진공원) △덕진공원 대표관광지 육성사업(덕진공원) △완산권역 산불대응센터 신축(완산공원) △국립후백제 역사문화센터 건립(기린공원) 등으로, 시는 공모사업에 선정된 부지들을 중심으로 생활기반시설과 도시숲 조성, 문화체험 공간 등 시민 체감형 프로젝트를 추진하고 있다.
시는 앞으로도 중앙정부와 협력해 신규 공모사업을 발굴하고, 민간특례사업 등을 통해 재정 부담을 분산할 계획이다. 동시에 나머지 부지에 대해서는 공원 해제 이후에도 질서 있는 점진적 개발을 유도함으로써 도시공간을 체계적으로 관리해 나갈 방침이다.
시 관계자는 “지방채 발행이라는 재정적 부담을 감수하면서까지 도시공원을 지키는 이유는 바로 미래세대를 위한 투자이기 때문”이라며 “도시의 품격과 환경을 다음 세대에 온전히 물려주기 위한 장기적 시각에서 접근하고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