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강남구 삼성동 아셈타워에서 바라본 시내 아파트 모습/사진=연합뉴스[더파워=최병수 기자] 국민 10명 중 6명은 내년에도 집값이 하락세를 이어갈 것으로 전망한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부동산R114가 지난달 31일부터 이달 14일까지 전국 1,738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2023년 상반기 주택 시장 전망' 설문조자 결과, 응답자 중 65.3%가 '하락'을 전망했다.
이는지난 2008년 반기별 전망 조사를 시작한 이래 가장 높은 비율이다. 전년 동기나 직전 조사 결과와 비교해도 하락 응답은 4배 이상(14%→38%→65%) 커졌다.
반면, '상승' 응답자 비율은 11.9%에 그쳤다. 보합 전망은 22.8%로 집계됐다.
2023년 상반기 주택가격 전망/자료=부동산R114
매매가 하락 전망 응답자의 32.4%는 경기침체 가능성을 이유로 꼽았고, 대출금리 인상 가능성(30.8%), 대출 규제로 매수세 약화(12.4%), 이자·세금 부담으로 매도물량 증가(11.7%), 가격 부담에 따른 거래 실종(9.2%) 등이 뒤를 이었다.
전셋값 전망도 하락 응답이 41.6%를 기록하며 상승(20.7%)보다 우세했다.
전세가 하락 전망의 주요 이유로는 임대인의 임차보증금 반환 리스크(23.8%)가 주요 이유였고, 전세대출 이자 부담에 따른 월세시장으로의 이탈(19.6%)도 꼽혔다.
그 다음으로는 '갭투자 영향으로 전세 매물 증가(18.37%)', '최근 2~3년 전세가격 급등 부담감(14.92%)' 등이 꼽혔다.
2023년 상반기 주택가격 전망/자료=부동산R114
반면 전세가격이 오른다고 답한 360명 중 42.78%는 매수심리 위축으로 전세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했다.
이어 △임대인의 월세 선호로 전세 공급 부족(19.17%) △월세가격 오름세에 전세가 상승 압력(11.94%) △청약(사전청약)을 위한 일시적 전세 거주 증가(8.89%) △서울 등 일부 인기 지역 입주물량 부족(8.89%) 순이었다.
한편 이 설문조사는 매년 2회씩 진행된다. 이번 조사는 지난 10월31일부터 11월14일까지 15일 동안 전국 1738명을 대상으로 진행됐다. 설문 조사의 표본 오차는 95%의 신뢰수준에 ±2.35%p다.
news@thepower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