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파워

2025.07.10 (목)

더파워

산업부, 화물연대 파업 비상대책반 구성... 시멘트·철강 출하 차질

메뉴

정치사회

산업부, 화물연대 파업 비상대책반 구성... 시멘트·철강 출하 차질

유연수 기자

기사입력 : 2022-11-25 11:02

화물연대 광주본부 파업출정식/사진=연합뉴스
화물연대 광주본부 파업출정식/사진=연합뉴스
[더파워=유연수 기자] 산업통상자원부는 민주노총 공공운수노조 화물연대본부(화물연대)의 총파업으로 시멘트와 철강 업종을 중심으로 제품 출하 차질이 발생하고 있다고 25일 밝혔다.

앞서 화물연대는 24일 오전 전국 16개 지역본부별로 총파업 출정식을 열고 집단 운송 거부에 돌입했다. 최근 경기 둔화 조짐이 뚜렷한 상황에서 육상 물류와 직결된 화물연대 파업이 시작됨에 따라 정부 대응도 분주해졌다.

이에 산업통상자원부는 화물연대 총파업으로 인한 업계 피해 대응을 위해 철강, 자동차, 시멘트, 조선, 석유화학, 정유, 전력 등 업계 관계자와 유관 부서로 이뤄진 비상대책반을 24일 구성하고 1차 회의를 했다.

산업부는 “전날 진행된 비상대책반 1차 회의에서는 철강·자동차·조선 등 주요 업종에 대한 피해 상황과 주요 업종별 대응 현황, 피해 최소화 방안 등을 논의했다”며 “운송 거부 돌입에 대비해 생산제품 조기 출하, 공장 내외 적재공간 확대, 대체 운송 수단 확보 등 대응 현황을 점검했다”고 했다.

특히 파업 첫날 업종별 영향을 확인했더니 시멘트·철강 분야의 주요 업체들에서 제품 출하 차질이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시멘트 업종은 레미콘 등 최종 수요처의 적재능력이 통상 이틀 내외인 탓에 건설 현장의 피해가 빠르게 확대될 것으로 우려했다.

한국시멘트협회에 따르면 전날 화물연대의 운송거부로 벌크시멘트트레일러(BCT)를 이용한 시멘트 육송 출하는 거의 중단돼, 약 190억원의 매출 손실이 발생한 것으로 추정된다.

산업부는 비상대책반을 중심으로 주요 업종의 상황을 매일 점검하고, 물류 차질로 인한 피해 대책 마련과 애로사항 해소에 나선다는 방침이다.

장영진 차관은 “운송거부로 인한 피해가 최소화될 수 있도록 산업 현장에서 제기되는 애로사항 등에 대해서 실시간으로 철저히 점검하고, 필요한 지원이 적기에 진행될 수 있도록 총력 대응해 달라”고 말했다.

news@thepowernews.co.kr
<저작권자 © 더파워,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주식시황
항목 현재가 전일대비
코스피 3,165.76 ▲32.02
코스닥 796.15 ▲5.79
코스피200 426.04 ▲4.02
암호화폐시황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50,944,000 ▲117,000
비트코인캐시 695,000 ▲1,000
이더리움 3,772,000 ▲2,000
이더리움클래식 23,980 ▲10
리플 3,295 ▼3
퀀텀 2,867 ▼16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51,000,000 ▲237,000
이더리움 3,775,000 ▲6,000
이더리움클래식 23,990 0
메탈 969 ▼3
리스크 545 ▼2
리플 3,296 0
에이다 845 ▲1
스팀 182 ▼0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51,060,000 ▲120,000
비트코인캐시 695,000 ▲500
이더리움 3,771,000 ▼1,000
이더리움클래식 23,990 ▲30
리플 3,298 ▼2
퀀텀 2,796 ▼74
이오타 235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