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정인 지정 안 해... 일각에서 정치권 논란 의식한 것 아니냐는 해석 나와
[사진제공=연합뉴스][더파워=조성복 기자] 정부가 코로나19 백신 1호 접종자를 개인으로 지정하지 않고 전국에서 동시에 접종을 시작한다고 밝혔다.
질병관리청은 25일 참고자료를 통해 "코로나19 백신을 접종하는 특정 한 명을 1호 접종자라고 의미를 부여하기보다 접종이 시작되는 첫 날에 의미를 두고 예방접종 시행 준비에 만전을 기하고 있다"고 전했다.
이어 "내일(26일) 오전 9시 전국적으로 동시에 시작되는 요양병원, 요양시설 만 65세 미만 입원·입소자 및 종사자 분들이 모두 첫 번째 접종자가 된다"고 설명했다.
질병청은 백신 접종이 이뤄지는 현장 상황을 일부 공개하기로 했다. 오는 26일 오전 9시부터 서울 도봉구 보건소에서 요양시설 종사자 약 60명이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을 맞는다.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1바이알(병)당 10회분이 들어있는 만큼 10명이 약 30분에 걸쳐 한 번에 접종을 받게 된다.
이에 따라 전국에 공개되는 첫 접종자는 도봉구 보건소에서 접종을 받는 요양시설 종사자가 된다.
질병청이 1호 접종자를 지정하지 않은 것을 두고 일각에서는 최근 정치권에서 제기된 논란을 의식한 것 아니냐는 해석도 나온다.
앞서 야당 일각에서 문재인 대통령의 1호 접종을 주장했고, 이에 여당이 강력 반발하면서 거센 공방이 일은 바 있다.
코로나19 백신 1호 접종자를 정하지 않는 사례는 찾아보기 어렵다.
우리나라보다 앞서 접종을 시작한 국가의 1호 접종자는 의료진, 고령자, 정부 수반 등 다양하다.
작년 12월 8일 전 세계 최초 코로나19 백신을 맞은 주인공은 영국의 90대 할머니였다. 미국 첫 접종자는 이민자 출신의 흑인 여성 간호사였고, 이탈리아 로마에서는 코로나19 치료 의료진이 첫 대상자였다.
일본에서는 도쿄의료센터 원장이, 세르비아에서는 총리가 첫 접종자로 나섰다.
news@thepower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