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파워

2025.07.14 (월)

더파워

1월 소비자물가 2.8%↑…6개월만에 2%대 둔화

메뉴

경제

1월 소비자물가 2.8%↑…6개월만에 2%대 둔화

최병수 기자

기사입력 : 2024-02-02 08:45

생활물가 3.4%…근원 물가도 26개월 만에 최저 상승 폭

사진=연합뉴스
사진=연합뉴스
[더파워 최병수 기자] 소비자물가상승률이 6개월 만에 2%대로 내려왔다.신선과실을 비롯한 농산물 가격은 고공행진이 계속됐다.

2일 통계청이 발표한 '1월 소비자물가 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소비자물가지수는 113.15(2020년=100)로 지난해 같은 달보다 2.8% 올랐다.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작년 7월 2.4%에서 8월 3.4%로 반등했으며 9월 3.7%, 10월 3.8%, 11월 3.3%, 12월 3.2% 등 5개월 연속 3%대를 기록하다 6개월 만에 2%대로 복귀했다.

품목별로 보면 석유류 하락 폭이 커지고, 외식 등 개인 서비스 물가 상승률은 둔화 되는 가운데 농·축·수산물 상승세가 두드러졌다.

농·축·수산물은 1년 전 같은 달보다 8% 올라 지난해 12월(7.7%)보다 상승 폭이 커졌다. 특히 사과는 56.8%, 토마토는 51.9%, 귤은 39.8%, 배는 41.2% 오르는 등 과일 물가가 크게 상승했다.

실제 신선식품 지수 중 신선과실류는 1년 전보다 28.5% 오르며 2011년 1월(31.9%) 이후 13년 만에 최고폭으로 상승했다. 돼지고기(-2.3%), 마늘(-12.1%), 상추(14.9%), 국산쇠고기(-1.2%) 등은 하락했다.

서비스 물가는 전년 동월 대비 2.6% 상승했다. 보험서비스료(12.6%), 가전제품수리비(4.3%)가 전체 상승을 이끈 반면 승용차임차료(-25.2%), 국내항공료(-8.4%), 전세(-0.9%), 유치원납입금(-8.4%) 등은 하락했다.

물가의 기조적 흐름을 보여주는 근원물가(농산물 및 석유류 제외 지수)는 지난해 같은달 대비 2.6% 올랐다. 2021년 11월 2.4% 이후 26개월 만에 최저 상승 폭이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방식의 근원물가 지표인 식료품 및 에너지 제외 지수는 2.5% 올랐다. 이 또한 2021년 12월 2.2% 상승한 이후 25개월 만에 최저치다.

자주 구매하는 품목 위주로 구성돼 체감물가에 가까운 생활물가지수는 3.4% 상승했다. 작년 10월 4.5%를 시작으로 11월 3.9%, 12월 3.7%를 기록하며 둔화하는 흐름이다.

<저작권자 © 더파워,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주식시황
항목 현재가 전일대비
코스피 3,175.77 ▼7.46
코스닥 800.47 ▲2.77
코스피200 428.07 ▼0.35
암호화폐시황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60,949,000 ▼5,000
비트코인캐시 687,500 ▲1,500
이더리움 4,059,000 ▲8,000
이더리움클래식 25,090 ▲30
리플 3,852 ▲12
퀀텀 3,130 ▼22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60,949,000 ▲71,000
이더리움 4,061,000 ▲12,000
이더리움클래식 25,060 ▼10
메탈 1,069 ▼14
리스크 603 ▲1
리플 3,851 ▲14
에이다 1,006 ▲4
스팀 199 ▲1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60,840,000 ▲150,000
비트코인캐시 686,000 ▼1,000
이더리움 4,056,000 ▲14,000
이더리움클래식 25,040 ▲120
리플 3,844 ▼15
퀀텀 3,147 ▲10
이오타 296 0
모바일화면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