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파워

2025.07.14 (월)

더파워

한은 "소비자물가 상승률, 9월에 2% 내외까지 둔화"

메뉴

경제

한은 "소비자물가 상승률, 9월에 2% 내외까지 둔화"

최병수 기자

기사입력 : 2024-08-26 09:08

"근원물가, 2% 초반서 하향 안정화"

한은 "소비자물가 상승률, 9월에 2% 내외까지 둔화"
(더파워뉴스=최병수 기자) 지난달 소폭 반등한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8월과 9월에 다시 하향 안정화될 것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26일 한은의 '부문별 물가상황 평가 및 머신러닝을 이용한 단기 물가 흐름 예측' 보고서에 따르면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이달 2%대 초반, 9월에는 2.0% 내외까지 둔화할 것이라고 예측했다.

한은이 상향식 머신러닝 기법을 통해 소비자물가 단기 흐름을 예측한 결과, 7월 2.6%로 반등했던 상승률은 8월 2%대 초반, 9월 2.0% 내외로 둔화할 것으로 예상됐다.

근원물가 상승률은 8∼9월 중 2%대 초반 수준에서 하향 안정화할 전망이다.

상향식 모양의 평균 예측오차는 8월 예측이 0.14%포인트(p), 9월 예측이 0.19%p 정도다.

주요 품목별 예측 결과를 보면, 농산물 가격 오름세는 양호한 기상 여건 등으로 완만한 둔화세를 이어갈 것으로 예상된다.

석유류 가격 상승률 역시 최근 국제유가 하락 등을 반영해 둔화할 전망이다.

근원 상품의 경우 낮은 수요 측 압력 등으로 가격 상승률이 1%대 후반을 기록할 것으로 추정됐다.

근원 서비스 물가(집세 제외) 상승률은 2% 중반 수준에서 완만한 둔화 흐름을 보일 것으로 예상된다.

다만 집세는 그간 전세가격 상승세 등이 반영되면서 낮은 수준에서 완만한 오름세를 나타낼 것으로 보인다.

한은은 이러한 예측의 배경에 지난해 8월 이후 유가·농산물 가격이 급등함에 따른 기저효과도 크게 작용했다고 밝혔다.

품목별로 보면 석유류가 8∼9월, 농·축·수산물은 8월과 10월에 기저효과가 커 소비자 물가의 하방 압력으로 작용할 전망이다.

다만 11월 이후에는 지난해 연말 유가 하락 등이 반대 방향의 기저효과로 작용하면서 소비자물가 상승률 둔화세를 다소 제약할 것으로 예상된다.

한은은 "지정학적 정세, 기상여건, 공공요금 인상 시기·폭 등에 따라 농산물·석유류 등 비근원품목의 월별 변동성이 커질 수 있는 리스크가 남아있는 점에는 유의할 필요가 있다”고 전했다.

(사진=연합뉴스)

<저작권자 © 더파워,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주식시황
항목 현재가 전일대비
코스피 3,175.77 ▼7.46
코스닥 800.47 ▲2.77
코스피200 428.07 ▼0.35
암호화폐시황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60,944,000 ▲159,000
비트코인캐시 688,500 ▼1,000
이더리움 4,055,000 ▲1,000
이더리움클래식 25,130 0
리플 3,852 ▼6
퀀텀 3,165 ▲12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60,988,000 ▲240,000
이더리움 4,054,000 ▲4,000
이더리움클래식 25,150 ▲40
메탈 1,083 ▲3
리스크 605 ▼1
리플 3,849 ▼5
에이다 1,008 ▼2
스팀 198 ▼1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60,840,000 ▲150,000
비트코인캐시 686,000 ▼1,000
이더리움 4,056,000 ▲14,000
이더리움클래식 25,040 ▲120
리플 3,844 ▼15
퀀텀 3,147 ▲10
이오타 296 0
모바일화면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