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파워 최병수 기자] 아시아개발은행(ADB)이 올해 한국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기존보다 0.7%포인트 낮춘 0.8%로 제시했다. 이는 지난 4월 전망치(1.5%)에서 절반 가까이 줄어든 수치로, 주요 국내외 기관 중 가장 낮은 수준이다.
기획재정부에 따르면 ADB는 7월 23일 발표한 ‘2025년 7월 아시아 경제전망’에서 한국의 실질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을 이같이 조정했다. ADB는 건설투자 위축, 수출 둔화, 부동산 시장 약세 등을 주된 하방 요인으로 지목했다. 특히 최근 미국의 관세 인상과 글로벌 무역 불확실성이 한국 수출에 타격을 줄 것이라는 전망도 반영됐다.
다만 ADB는 지난 6월 대선 이후 정치적 불확실성이 해소되고, 확장적 재정정책과 추가경정예산(추경) 집행 등이 하반기 내수 회복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했다. 그러나 수출에 대한 부정적 전망은 여전히 이어지고 있다.
내년도 성장률 전망치도 하향 조정됐다. ADB는 한국의 2026년 성장률을 1.6%로 제시했으며, 이는 지난 4월 전망(1.9%)보다 0.3%포인트 낮은 수준이다. ADB는 “무역 불확실성과 관세 인상의 여파가 지속적인 부담 요인이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올해와 내년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각각 1.9%로, 지난 4월 전망치를 유지했다. 이는 한국은행의 물가안정 목표치(2.0%)를 다소 밑도는 수준이다.
한편 ADB는 아시아·태평양 지역 전체의 올해 성장률을 4.7%로 전망하며 기존보다 0.2%포인트 낮췄다. 내년 성장률 역시 4.6%로 0.1%포인트 하향 조정했다. 미 관세 인상, 해상운송 차질, 유가 상승, 중국 부동산 침체 등 복합적인 요인들이 아시아 전반의 성장 둔화를 초래할 것으로 분석했다.
이번 ADB 전망은 국제통화기금(IMF)과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의 한국 성장률 전망치(각각 1.0%)보다 낮거나 유사한 수준이며, 한국은행과 한국개발연구원(KDI)이 제시한 전망치(각각 0.8%)와도 일치한다. 반면 정부는 여전히 1.8% 성장률을 목표로 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