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파워 이설아 기자]  한국관광공사가 인공지능(AI) 기술을 활용한 관광혁신 서비스를 내장산국립공원에서 처음으로 선보인다. 한국관광공사는 31일 내장산국립공원에서 관광현장의 불편을 해소하고 안전과 편의를 높이기 위한 AI 기반 실증서비스 ‘AI 광집사(관광현장의 불편을 해결해 주는 AI 집사)’를 공개했다고 밝혔다.
이번 실증사업은 정부의 AI 대전환 정책과 지역관광 균형성장 전략의 일환으로 추진됐다. 공사는 ㈜딥파인, ㈜베스텔라랩, ㈜플리토, ㈜트리플렛, ㈜디플리 등 5개 민간 AI 기업과 정읍시, 내장산국립공원사무소가 협력해 서비스를 운영한다.
‘AI 광집사’는 AI 기술을 기반으로 다국어 안내, 안전 확보, 방문객 밀집도 분석, 주차 혼잡도 파악 등을 통합 제공하는 시스템이다. 내장산 탐방코스, 명소, 편의시설 위치 등을 한국어·영어·중국어로 안내하며, 탐방객의 나이·동행유형·등산 빈도에 따라 맞춤형 등산코스를 추천한다.
또한 현장 해설을 37개 언어로 실시간 통역해 외국인 관광객의 접근성을 높였다. 해설사가 한국어로 설명하면 외국인 탐방객은 스마트기기를 통해 실시간 번역된 해설을 들을 수 있으며, 안내 표지판의 QR코드를 통해 10개 언어로 자동 번역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등산객 안전 강화를 위해서는 ‘소리 기반 AI 기술’이 적용됐다. “도와주세요”, “살려주세요” 등의 구조 요청 음성을 인식해 위급 상황을 자동 감지하고 관제 대시보드로 즉시 알림을 전송한다. 사고 위치도 실시간으로 표시돼 신속한 대응이 가능하다.
이와 함께 케이블카 하부, 108단풍터널 등 혼잡 지점의 방문객 밀집도를 실시간 분석해 탐방 동선을 조정하고, 드론영상과 카카오 정산 데이터를 결합해 주차장 혼잡도를 분석한다. 만차 시에는 인근 주차장으로 자동 안내되며 티맵(TMAP) 내비게이션과 연동해 빈자리 정보도 제공한다.
양경수 관광산업본부장 직무대리는 “지난 10월 순천만국가정원에서 성공적으로 운영된 AI 광집사를 단풍철 내장산으로 확대한 것”이라며 “AI 광집사는 관광현장의 문제를 기술적으로 해결함과 동시에 관광객의 안전과 편의를 높이는 지속가능한 관광모델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설아 더파워 기자 news@thepower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