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파워

2025.10.31 (금)

산업

9월 산업생산 1.0% 증가…서비스·건설이 견인

유연수 기자

기사입력 : 2025-10-31 13:30

이두원 국가데이터처 경제동향통계심의관이 31일 정부세종청사에서 2025년 9월 및 3분기 산업활동동향에 관해 설명하고 있다./사진=연합뉴스
이두원 국가데이터처 경제동향통계심의관이 31일 정부세종청사에서 2025년 9월 및 3분기 산업활동동향에 관해 설명하고 있다./사진=연합뉴스
[더파워 유연수 기자] 국가데이터처는 31일 ‘9월 산업활동동향’을 발표하며 전산업생산이 전월 대비 1.0% 증가해 플러스로 전환했다고 밝혔다.

전산업생산 지수(2020년=100, 계절조정·농림어업 제외)는 115.5로 집계됐다. 올해 월별 증감률은 1월 -1.6%, 2월 0.7%, 3월 1.1%, 4월 -0.7%, 5월 -1.2%, 6월 1.6%, 7월 0.4%, 8월 -0.3%로 등락을 거듭했다. 제조업을 포함한 광공업생산은 1.2% 감소했으나 서비스업생산이 1.8% 늘었고 건설업생산이 11.4% 증가해 전체 생산을 끌어올렸다(건설은 20개월 만에 최대 증가).

광공업에서는 반도체 19.6% 증가가 두드러졌지만 자동차 -18.3%, 기계장비 -6.9%가 하락했다. 제조업 재고는 전월 대비 2.2% 증가했고, 제조업 평균가동률은 73.4%로 1.2%포인트 하락했다. 서비스업에선 도소매 5.8%, 금융·보험 2.3% 증가가 견인했고, 예술·스포츠·여가는 8.4% 감소했다. 공공행정은 1.2% 줄었다.

소비는 두달 연속 뒷걸음질쳤다. 소매판매는 전월 대비 0.1% 감소했다. 품목별로 내구재(통신기기·컴퓨터·가전·가구 등)는 3.9% 늘었으나 준내구재(신발·가방·오락·취미용품 등)는 5.7%, 비내구재(음식료품·화장품·차량연료 등)는 0.1% 줄었다.

업태별로는 백화점 5.4%, 대형마트 7.3%, 편의점 1.3%, 전문소매점 0.8% 증가했고 면세점 -5.6%, 슈퍼마켓·잡화점 -2.9%, 승용차·연료소매점 -2.8%, 무점포소매 -0.5% 감소했다. 다만 3분기 소매판매액지수는 전분기 대비 1.5% 증가해 16분기 만에 최대를 기록했다.

투자 지표는 강세였다. 설비투자는 전월 대비 12.7% 늘어 7개월 만의 최대 증가폭을 보였고(기계류 9.9%·운송장비 19.5%), 국내 기계수주는 공공·민간 모두 늘며 전년 동월 대비 17.7% 증가했다. 건설기성(불변)은 11.4% 늘어 2024년 1월(21.8%) 이후 20개월 만에 최대 증가였고, 건축 14.8%·토목 2.9%가 모두 플러스를 기록했다. 반면 건설수주(경상)는 전년 동월 대비 8.6% 감소(건축 -8.4%·토목 -9.2%)했다.

경기종합지수도 개선됐다. 동행종합지수 순환변동치는 전월 대비 0.2포인트 상승(99.4), 선행종합지수 순환변동치는 0.1포인트 상승(102.1)했다. 코스피 지수와 수출입물가비율 상승, 수입액·비농림어업 취업자수 증가 등이 영향을 미쳤다.

이두원 국가데이터처 경제동향통계심의관은 “광공업이 줄었지만 서비스업과 건설업 증가로 전체 생산이 1.0% 늘었다”며 “소비는 준내구재 조정과 자동차의 기저효과 영향이 있었다”고 설명했다. 이어 “설비투자는 반도체 제조장비와 기타운송장비가 증가를 이끌었고, 건설투자는 반도체 관련 사업장 공사실적이 크게 늘었다”고 덧붙였다.

유연수 더파워 기자 news@thepowernews.co.kr
<저작권자 © 더파워,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주식시황
항목 현재가 전일대비
코스피 4,107.50 ▲20.61
코스닥 900.42 ▲9.56
코스피200 579.46 ▲4.25
암호화폐시황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64,629,000 ▼198,000
비트코인캐시 828,000 0
이더리움 5,761,000 ▼3,000
이더리움클래식 23,430 ▲60
리플 3,741 ▲18
퀀텀 2,730 ▼10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64,400,000 ▼448,000
이더리움 5,761,000 ▼4,000
이더리움클래식 23,410 ▲50
메탈 667 ▼1
리스크 299 0
리플 3,735 ▲13
에이다 916 ▼1
스팀 125 0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64,490,000 ▼270,000
비트코인캐시 829,000 ▲2,000
이더리움 5,760,000 0
이더리움클래식 23,410 ▲40
리플 3,736 ▲13
퀀텀 2,742 ▲4
이오타 206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