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파워

2025.07.14 (월)

더파워

셀트리온 이어 ‘국산 2호’ 코로나19 치료제 자리 경쟁 치열

메뉴

산업

셀트리온 이어 ‘국산 2호’ 코로나19 치료제 자리 경쟁 치열

유연수 기자

기사입력 : 2021-01-14 10:14

셀트리온 항체치료제 식약처 심사 중… GC녹십자·대웅제약·종근당 등 허가 신청 작업 돌입

[사진제공=연합뉴스]
[사진제공=연합뉴스]
[더파워=유연수 기자] 셀트리온의 렉키로나주(레그단비맙·CT-P59)가 첫 번째로 국산 코로나19 치료제 자리에 오를 것으로 보이자 GC녹십자, 대웅제약, 종근당 등 다른 제약사들이 허가 신청을 위한 작업에 들어갔다.

14일 제약·바이오업계에 따르면 셀트리온이 자체 개발한 코로나19 항체 치료제의 임상데이터를 공개하면서 머지않아 ‘토종’치료제가 등장할 것이라는 기대가 높아지고 있다.

셀트리온의 렉키로나주는 경증 및 중등증 코로나19 환자를 대상으로 하는 글로벌 임상 2상 결과, 중증 환자 발생률과 회복까지 걸리는 시간이 낮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업계에서는 이르면 이달 말 렉키로나주에 대한 식약처의 품목허가가 나올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식약처 허가 시 셀트리온의 렉키로나주는 국산 1호 코로나19 치료제가 된다. 현재 국내에서 식약처로부터 코로나19 치료제로 허가받은 제품은 다국적 제약사 길리어드사이언스의 베클루리주(렘데시비르)가 유일하다.

이에 셀트리온에 이어 국산 2호 코로나19 치료제 자리를 차지하기 위한 경쟁이 치열하다.

GC녹십자는 코로나19 중증 환자를 위한 혈장치료제 ‘GC5131A’를 개발하고, 60명을 대상으로 시행한 임상 2상 시험을 종료했다. 도출 중인 결과를 바탕으로 1분기 내 식약처에 조건부 허가를 신청할 계획이다.

대웅제약과 종근당 역시 기존 의약품을 코로나19 치료제로 개발하는 ‘약물 재창출’ 방식으로 연구에 속도를 내고 있다.

대웅제약은 만성 췌장염 등에 쓰이는 호이스타정(카모스타트메실레이트)을 먹는 형태의 코로나19 치료제로 개발 중이다. 대웅제약은 호이스타정의 임상 2a상 결과에 대한 최종 분석을 마치는 대로 정부와 협의해 조건부 허가를 신청할 계획이다.

종근당은 혈액항응고제 및 급성췌장염 치료제 나파벨탄(나파모스타트)을 코로나19 치료제로 개발하기 위한 러시아 임상 2상을 마무리했다.

이 밖에 국내 제약·바이오 기업 중에서는 부광약품, 엔지켐생명과학, 신풍제약, 크리스탈지노믹스, 동화약품, 이뮨메드 등이 코로나19 치료제 개발을 위해 임상 2상 시험에 돌입했다.

news@thepowernews.co.kr
<저작권자 © 더파워,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주식시황
항목 현재가 전일대비
코스피 3,175.77 ▼7.46
코스닥 800.47 ▲2.77
코스피200 428.07 ▼0.35
암호화폐시황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61,220,000 ▲196,000
비트코인캐시 688,500 ▼500
이더리움 4,042,000 ▼12,000
이더리움클래식 25,140 ▼10
리플 3,860 ▼5
퀀텀 3,146 ▼8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61,135,000 ▲186,000
이더리움 4,040,000 ▼13,000
이더리움클래식 25,170 ▲40
메탈 1,074 ▼5
리스크 600 ▼3
리플 3,856 ▼10
에이다 1,007 ▼4
스팀 198 0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60,840,000 ▲150,000
비트코인캐시 686,000 ▼1,000
이더리움 4,056,000 ▲14,000
이더리움클래식 25,040 ▲120
리플 3,844 ▼15
퀀텀 3,147 ▲10
이오타 296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