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일 한국노총 산하 금속노련 삼성그룹노조연대는 삼성전자 노조 등 8개사 노조가 공동으로 각 사측에 임금인상 등 공동요구안을 제시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사진제공=금속노련]
[더파워=김시연 기자] 삼성전자 등 삼성 계열 8개사 노조가 모인 금속삼성연대가 사측을 상대로 공동교섭을 요구했다.
8일 전국금속노동조합연맹 삼성그룹노동조합연대(이하 ‘금속삼성연대’)는 한국노총 대회의실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노사협의회를 통한 노조탄압 중단, 비인간적 평가제도 폐지 등을 요구하며 삼성전자 등 사측에 공동(집단)교섭을 제안했다.
금속삼성연대는 전국삼성전자노조·삼성디스플레이노조·삼성웰스토리노조·삼성화재애니카손해사정노조·삼성화재노조·삼성SDI울산노조·삼성생명직원노조·삼성에스원참여노조 등 삼성그룹 8개사 노조가 연대해 결성한 단체다.
이들은 사측에 2021년도 임금 6.8% 인상, 하위고과 임금삭감 폐지 및 직원간 경쟁유발하는 MBO 개선, TAI(목표인센티브) 및 OPI(성과인센티브) 제도 개선, 통상임금 정상화 등을 공동요구했다.
이외에도 금속삼성연대는 각 노조별로 개별 요구안을 각 사측에 제시할 방침이다.
김만재 금속노련 위원장은 “제조업·금융업·서비스업 등 다양한 업종의 노동자들이 서로의 차이를 허물고 공동요구안을 중심으로 거대 자본 삼성과 맞서려고 한다”며 “삼성그룹사 공통과제를 8개 노조와 소모적 협상을 하기 보다는 공동교섭을 통한 생산적인 협상을 제안한다”고 밝혔다.
이어 “공동교섭을 통해 삼성이 진정 무노조 경영을 포기했음을 확인하는 자리가 되기를 기대한다”고 덧붙였다.
금속삼성연대는 기자회견문을 통해 “이재용 부회장의 대국민 사과와 무노조 경영 포기의 실상은 여전히 노동조합을 배제하고 노사협의회와 임금‧노동조건을 협상하는 것”이라며 “모든 노동조합의 요구인 비인간적 평가제도 폐지‧개선에 대해서는 토씨 하나 조사 하나 바꿀 수 없다는 게 삼성의 입장”이라고 비판했다.
또한 “지금까지 각 사업장에서 노력하고 투쟁했으나 최종적으로 도달한 결론은 개별적‧산발적으로는 삼성이라는 거대 자본을 상대할 수 없다는 것”이라며 “서로의 차이를 허물고 공동요구안을 중심으로 거대 자본 삼성과 맞서려한다”고 강조했다.
금속삼성연대는 공동요구안을 포함한 공동교섭요구를 삼성전자 등 삼성그룹 각 관계사 사측에 전달할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