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파워

2025.07.14 (월)

더파워

AZ 코로나19 백신, 만 65세 미만부터 26일 접종 시작... 고령층은 보류

메뉴

정치사회

AZ 코로나19 백신, 만 65세 미만부터 26일 접종 시작... 고령층은 보류

조성복 기자

기사입력 : 2021-02-15 15:00

"고령층 백신 효능 논란, 백신 수용성 떨어뜨려 접종률 저하시킬 수 있어"

코로나19 예방접종 대응 추진단장을 맡은 정은경 질병관리청장(중앙방역대책본부장) [사진제공=연합뉴스]
코로나19 예방접종 대응 추진단장을 맡은 정은경 질병관리청장(중앙방역대책본부장) [사진제공=연합뉴스]
[더파워=조성복 기자] 정부가 국내 첫 아스트라제네카(AZ)사의 코로나19 백신 접종은 만 65세 미만의 요양병원·시설 입소자를 대상으로 실시한다고 15일 밝혔다.

만 65세 이상 고령층에게는 당분간 코로나19 백신을 접종하지 않기로 결정했다.

고령층 접종 효과 논란이 지속되는 만큼 임상 정보를 추가로 확인해 백신에 대한 신뢰도를 높이겠다는 신중한 입장이다. 하지만 접종 계획이 처음부터 흔들리면서 '고위험군' 접종 전략에 차질이 우려된다. 일각에서는 11월 집단면역 형성 계획 자체가 차질이 생길 수도 있을 것이라는 예측도 나왔다.

코로나19 예방접종 대응 추진단은 이날 충북 오송 질병관리청 브리핑룸에서 '코로나19 예방접종 2~3월 시행계획'을 발표했다.

추진단은 당초 1호 접종군으로 분류됐던 만 65세 이상 입소자·종사자에 대한 접종을 보류했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1분기 접종 대상이었던 요양시설 노인·종사자 78만명 중 65세 이상 50만명이 대상에서 제외되면서 65세 미만 27만2000명이 첫 대상자가 됐다. 첫 접종에 사용되는 백신은 아스트라제네카의 코로나19 백신이며 오는 26일부터 접종을 시작한다.

추진단은 고령층에게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을 접종하는 문제는 접종 유효성과 관련한 임상정보를 3월 말에 추가로 확인한 뒤 예방접종전문위원회 심의를 거쳐 최종 확정하기로 결정했다.

추진단은 "접종 목표를 달성하려면 접종률을 높이는 것이 중요한데, 고령층에 대한 백신 효능 논란은 국민과 의료인의 백신 수용성을 떨어뜨려 접종률을 저하시킬 우려가 있다"며 "미국 임상시험 결과와 영국 등 기 접종 국가의 효과 정보 등을 확인하고 예방접종을 시행하겠다"고 설명했다.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은 유럽 의약품청(EMA)과 영국 등 50개 국가에서 조건부 허가 또는 긴급 사용승인을 받은 제품이다. 하지만 독일 등 일부 국가에서는 65세 미만에 대해서만 접종을 권고하고 있다. 또한 스위스와 남아프리카공화국(남아공)은 승인 자체를 보류했다.

이런 상황에서 우리나라 식품의약품안전처도 최근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을 허가할 당시 '사용상의 주의사항'에 '65세 이상의 고령자에 대한 사용은 신중하게 결정해야 한다'는 내용을 넣기로 한 상태다.

다만 추진단은 "질병관리청 예방접종전문위원회는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의 안전성과 면역원성, 중증질환 및 사망 예방효과를 확인했다"며 백신이 안전하다는 점을 거듭 강조했다.

오는 26일 만 65세 미만 요양병원·시설 접종 이후 고위험 의료기관의 보건의료인 35만4000명에 대한 접종은 3월 8일부터, 방역·역학조사·검사·검역 요원 등 코로나19 1차 대응요원 7만8000명에 대한 접종은 3월 22일부터 시작된다.

요양병원 등 의료기관은 자체적으로 접종을 실시하고, 요양시설은 의료진이 방문해 접종을 시행한다. 다만 지역별 여건에 따라 보건소에서 접종할 수 있다. 1차 대응요원은 관할 보건소에서 접종한다.

정은경 추진단장은 "코로나19 위기에서 벗어나 안전하고 소중한 일상을 회복하기 위해서는 국민 모두의 참여가 필요하다"며 "집단면역 형성을 위해 접종순서에 해당하는 분들은 예방접종에 적극 참여해달라"고 당부했다.

news@thepowernews.co.kr
<저작권자 © 더파워,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주식시황
항목 현재가 전일대비
코스피 3,175.77 ▼7.46
코스닥 800.47 ▲2.77
코스피200 428.07 ▼0.35
암호화폐시황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61,165,000 ▼112,000
비트코인캐시 686,000 ▼2,000
이더리움 4,021,000 ▼6,000
이더리움클래식 24,970 ▼20
리플 3,826 ▲20
퀀텀 3,103 ▼15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61,150,000 ▼64,000
이더리움 4,024,000 ▼12,000
이더리움클래식 24,940 ▼50
메탈 1,062 ▼1
리스크 593 ▼3
리플 3,825 ▲11
에이다 995 ▼3
스팀 197 ▼1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61,160,000 ▼140,000
비트코인캐시 686,500 ▼3,000
이더리움 4,022,000 ▼6,000
이더리움클래식 25,000 ▲10
리플 3,828 ▲23
퀀텀 3,098 ▼22
이오타 293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