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파워 이경호 기자] 백신을 맞지 않고 코로나19에 감염됐다면 확진된 뒤 1년 반 안에 mRNA 백신 1번만 접종하면 면역이 충분히 형성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서울대병원 감염내과 박완범· 최평균· 강창경 교수팀과 서울의대 이창한 교수팀이 코로나 확진 6개월 또는 18개월 후 mRNA 백신을 접종한 확진자 총 43명을 대상으로 면역반응을 분석한 결과를 6일 발표했다.
앞선 여러 연구에서 코로나19 확진자에게 mRNA 백신을 1회 투여하면 폭넓은 면역반응이 나타나는 것으로 보고됐다. 그러나 지금껏 코로나19 감염 이후 1년 지난 후에 백신을 접종한 사람을 대상으로 한 연구는 없어 '언제까지' 1회 접종만으로 면역을 얻을 수 있는지는 밝혀지지 않았다.
이에 연구팀은 코로나19 확진 여부에 따른 mRNA 백신 접종 시기 및 횟수에 따라 ▲ 무확진 및 백신 미접종군 ▲ 무확진 및 백신 1회 접종군 ▲ 무확진 및 백신 2회 접종군 ▲ 확진 6개월 후 백신 1회 접종군 ▲ 확진 18개월 후 백신 1회 접종군 ▲ 확진 6개월 후 백신 2회 접종군 ▲ 확진 18개월 후 백신 2회 접종군으로 나눈 뒤 혈액 검사로 면역반응을 분석했다.
그 결과 코로나19 확진 18개월 후에 백신을 접종했을 때도 6개월 후 접종한 경우와 비슷한 수준의 면역반응이 형성된 것으로 확인됐다.
또 확진 18개월 후 단 1회 백신 접종으로도 오미크론을 포함한 다양한 변이주에 대한 폭넓은 면역반응이 관찰됐다. 바이러스를 무력화하는 중화항체뿐만 아니라 세포 안의 바이러스를 제거하는 데 관여하는 세포 매개 면역반응도 활성화됐다는 의미다.
이와 함께 코로나19 확진 후 백신을 2회 접종하는 건 면역반응을 유의하게 높이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런 데이터와 분석 결과는 코로나19 확진 후 백신 접종은 mRNA 백신 한차례로 충분하다는 사실을 시사한다고 연구팀은 밝혔다.
박 교수는 "코로나19 감염 후 부작용에 대한 걱정 등 여러 사유로 백신을 못 맞은 미접종자가 여전히 많다"며 "설사 감염 후 일 년 반이 지났더라도 1회 mRNA 백신 접종으로 여러 변이주에 대한 면역이 형성되므로 감염된 기간과 관계없이 백신 접종을 하면 된다"고 말했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바이오메드 센트럴 의학'(BMC Medicine) 최근호에 게재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