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비스수지 가운데 특히 운송수지 흑자 규모가 1년 사이 5억7천만달러에서 15억5천만달러로 9억7천만달러 늘었다.
3월 선박 컨테이너운임지수(SCFI)가 1년 전보다 74.5%나 오르는 등 수출화물 운임이 높은 수준을 유지하면서 운송 수입이 같은 기간 28억8천만달러에서 47억5천만달러로 불었기 때문이다.
하지만 해외여행이 조금씩 늘어나면서 여행수지 적자 규모(-4억7천만달러)는 지난해 3월(-3억6천만달러)보다 더 커졌다.
본원소득수지는 11억5천만달러 흑자를 냈지만, 1년 새 흑자액이 1억4천만달러 줄었다. 외국인투자법인의 배당지급이 늘어 배당소득 흑자가 4억7천만달러에서 3억9천만달러로 9천만달러 축소된 데 영향을 받았다.
황상필 한은 경제통계국장은 경상수지 흑자 축소에 대해 "수출이 견조한 흐름이지만, 우크라이나사태 여파 등으로 수입이 늘면서 상품수지가 부진했기 때문"이라며 "원자재의 해외 의존도가 높은 우리나라로서는 불가피한 측면이 있다"고 설명했다.
향후 추세와 관련해서는 "원자재 가격 상승, 주요국 성장세 둔화, 공급 차질 등의 위험 요인이 있지만, 수출이 꾸준히 늘고 있기 때문에 흑자 기조는 지속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다만 4월의 경우 잠시 적자로 돌아설 가능성도 있다는 게 한은의 판단이다.
황 국장은 "통관기준 수출입 실적과 상품수지의 차이, 내국인의 해외주식투자 잔액이 많아 이들에 대한 배당도 늘어난다는 점, 서비스 운송수지 개선 등 변수가 많아 4월 적자나 흑자 여부를 현재로서는 가늠하기 어렵다"면서도 "지난달 통관기준으로 무역 적자(26억6천만달러)를 본데다 12월 결산법인의 배당도 4월에 몰려 있어 일시적 경상수지 적자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고 말했다.
금융계정 순자산(자산-부채)은 3월 중 53억7천만달러 늘었다.
직접투자의 경우 내국인의 해외투자가 91억1천만달러, 외국인의 국내투자도 28억4천만달러 증가했다.
증권투자에서는 내국인의 해외투자가 65억8천만달러 불었지만, 외국인의 국내 증권투자는 22억7천만달러 감소했다.
황 국장은 외국인 국내 증권투자와 관련해 "우크라이나 사태 등의 영향으로 주식 분야에서 유출이 발생하고 있다"며 "하지만 우리나라 신인도가 높고 경제 성장률도 괜찮기 때문에 채권 투자에서는 외국인이 순매수하는 추세"라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