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연합뉴스[더파워 이경호 기자] 한국산 암호화폐 '루나'가 99% 이상 폭락한 가운데 국내 1위 가상화폐 거래소인 업비트 운영사인 두나무가 루나 코인에 기획 투자를 했다는 의혹이 제기됐다.
두나무는 지난 2018년 3월 29일 자회사인 두나무앤파트너스를 설립했다. 두나무앤파트너스는 설립 직후 신생 코인인 루나에 자본금의 63.5%에 해당하는 25억4000만원을 투입했다.
이후 두나무는 자사 거래소인 업비트에 루나를 상장시켰다. '셀프 상장'이라는 의혹이 나오는 이유다.
또 두나무앤파트너스 등기에 따르면 송 의장과 김 부사장이 두나무앤파트너스 설립 당시 사내이사로 등재됐다가 일주일도 안 돼 사임한 것으로 알려져 루나 투자와 관계가 있는 것이 아니냐는 주장도 나오고 있다.
김진태 전 국민의힘 의원도 "두나무가 업비트 상장으로 루나 가격을 띄우는 데 상당한 역할을 했다"며 두나무에 이해상충 논란을 제기했다.
한때 시가총액 10위까지 올라갔던 루나는 최근 가격 폭락으로 엄청난 투자 피해자를 만들어 냈다. 가상화폐 업계 등에 따르면, 루나로 인해 국내외 투자자 재산 48조원 이상이 사라진 것으로 드러났으며, 국내 피해자도 28만명 이상으로 추산했다.
이에 반해 두나무앤파트너스는 루나 가치가 상승하던 지난해 2월19일 보유하고 있던 루나를 전량 매각해 1300억원의 이익을 챙겼다.
루나는 현재 99.9% 이상 폭락해 사실상 휴지조각이 됐으며, 이에 업비트는 지난 13일 루나 코인 상장폐지를 발표했다.
한편, 국민의힘과 정부는 가상자산 시장 규제를 위한 특정금융거래정보법(특금법) 시행령 개정에 본격적으로 착수한다는 계획이다.
당정은 24일 오후 국회에서 열린 간담회에서 한국산 가상화폐 루나·테라 폭락 사태를 계기로 가상화폐 거래소 시장 현황을 점검하고 투자자 보호 대책을 논의했다.
최근 루나·테라 폭락 사태와 유사한 사례가 재발하지 않도록 가상자산 시장 질서교란 행위에 대한 엄정한 수사를 요청하는 한편, 업체 측에도 리스크 관리 및 투자자 보호 의무를 소홀히 한 책임을 묻겠다는 방침이다.
이경호 더파워 기자 news@thepower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