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파워

2025.07.14 (월)

더파워

한은, 올해 물가상승률 4.5% 전망…14년 만에 최고

메뉴

경제

한은, 올해 물가상승률 4.5% 전망…14년 만에 최고

최병수 기자

기사입력 : 2022-05-26 10:32

금융통화위원회 본회의 주재하는 이창용 총재/사진=연합뉴스
금융통화위원회 본회의 주재하는 이창용 총재/사진=연합뉴스
[더파워=최병수 기자] 한국은행이 26일 수정 경제전망 발표를 통해 올해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4.5%를 기록할 것으로 예상한다고 밝혔다.

지난 2월 발표했던 소비자물가 상승률보다 1.4%포인트나 높아진 수치다.

반면 올해 연간 실질 국내총생산(GDP) 성장률 전망치는 2.7%로 지난 2월 전망치보다 낮췄다.

한은이 당해년도 소비자물가 상승률 전망치로 4%대를 내놓은 것은 2011년 7월(연 4.0% 전망) 이후 10년 10개월 만에 처음이다.

더구나 4.5% 전망이 실현될 경우, 이는 2008년(4.7%) 이후 14년 만에 가장 높은 연간 물가 상승률로 기록된다.

이처럼 물가 상승률 전망치를 큰 폭으로 올린 것은 지난달 소비자물가가 1년 전보다 4.8% 상승하는 등 이미 5%에 근접했기 때문이다.

여기에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과 공급망 차질 등에 따른 원자재·곡물 가격 강세 등이 반영된 결과로 보인다.

한은은 앞서 지난 3일 '물가 상황 점검 회의'에서 "원자재가격 상승, 거리두기 해제에 따른 수요측 물가 압력 등의 영향으로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당분간 4%대의 오름세를 이어갈 것"이라고 전망했다.

특히 우크라이나 사태, 중국 내 코로나19 재확산에 따른 봉쇄조치 등으로 공급망 차질이 심해진 가운데 전쟁 여파까지 겹쳐 곡물을 중심으로 세계 식량 가격 상승세가 장기화할 가능성이 커졌다는 게 한은의 진단이다.

미래 인플레이션 압력도 큰 편이다. 이달 소비자동향조사에서 향후 1년의 소비자물가 상승률 전망 값에 해당하는 '기대인플레이션율'(3.3%)은 2012년 10월(3.3%) 이후 9년 7개월 만에 최고 수준에 이르렀다.

올해 경제성장률 전망치의 경우 3.0%에서 2.7%로 하향 조정됐다. 원자재 가격 급등에 따른 무역수지 악화, 코로나19 봉쇄 등에 따른 중국 경기 둔화, 물가 상승에 따른 소비 타격 가능성 등이 전망 수정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내년 소비자물가 상승률과 성장률은 각 2.9%, 2.4%로 예상했다.

news@thepowernews.co.kr
<저작권자 © 더파워,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주식시황
항목 현재가 전일대비
코스피 3,175.77 ▼7.46
코스닥 800.47 ▲2.77
코스피200 428.07 ▼0.35
암호화폐시황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60,758,000 ▼191,000
비트코인캐시 687,000 ▼500
이더리움 4,052,000 ▼7,000
이더리움클래식 25,200 ▲110
리플 3,882 ▲30
퀀텀 3,148 ▲18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60,754,000 ▼195,000
이더리움 4,050,000 ▼11,000
이더리움클래식 25,170 ▲110
메탈 1,076 ▲7
리스크 601 ▼1
리플 3,877 ▲26
에이다 1,011 ▲5
스팀 199 ▲0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60,840,000 ▲150,000
비트코인캐시 686,000 ▼1,000
이더리움 4,056,000 ▲14,000
이더리움클래식 25,040 ▲120
리플 3,844 ▼15
퀀텀 3,147 ▲10
이오타 296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