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파워=최병수 기자]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이 23일 국내외 경제 여건의 불확실성이 커지면서 ‘퍼펙트스톰(총체적 복합위기)’에 대한 경고등이 켜졌다며 ‘오일쇼크’를 뛰어넘는 경제 위기가 올 수 있다고 진단했다.
이 금감원장은 이날 웨스틴 조선호텔에서 열린 연구기관장들과 간담회에서 글로벌 인플레이션 및 금리 상승의 영향과 정책적 대응 등에 대해 의견을 나누면서 이같이 말했다.
이 원장은 “현재 상황에 대해 경제 전문가들은 인플레이션과 경기침체가 동시에 발생했던 오일쇼크 때와 유사하다고 보기도 한다”며 "그야말로 미증유의 퍼펙트 스톰이 밀려올 수 있는 것"이라고 경고했다.
이 자리에서 이 원장은 금감원이 현 위기에 대응하기 위해 금융회사 건전성 관리를 강화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 원장은 “건전성비율 규제 등 다양한 감독수단을 적극 활용해 금융회사의 취약부분을 집중 관리하겠다”며 “금리·환율 급등으로 인한 단기자금시장 및 회사채시장의 경색 가능성에 대비해 금융회사의 유동성관리 실태점검을 강화하겠다”고 설명했다.
이 원장은 "금리 인상 충격으로 금융사의 신용손실 확대가 예상되는 만큼 충분한 규모의 충당금을 적립해 손실흡수 능력을 제고하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이 원장은 개별 금융사의 유동성 위기와 부실이 전체 금융시스템으로 확산할 우려도 있다면서 금융시장 이상징후 조기 포착을 위한 모니터링을 강화하고 시스템 리스크 예방 및 확산 방지를 위한 노력을 지속하겠다고 밝혔다.
그는 "긴급 시장 지원방안을 마련해 위기가 현실화할 경우에는 속도감 있게 시행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이 원장은 금융시장 선진화를 통한 우리 경제의 근본적 경쟁력도 지원하겠다고 강조했다.
그는 “정부의 규제혁신 방침에 적극 동참해 ‘금융규제 혁신지원 태스크포스(TF)’를 운영하고 금융규제 혁신 신고센터를 설치하는 등 혁신을 저해하는 규제를 철폐해 나가겠다”며 “새롭게 등장하는 디지털 혁신산업과 기존 금융산업이 조화롭게 경쟁할 수 있도록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말했다.
이 자리에서 연구기관장들은 대내외 리스크요인에 대해 감독당국의 면밀한 점검과 대응이 필요하다는 의견을 제시했다.
박종규 금융연구원장은 "금융사가 금리상승, 공급망 경색 등에 따른 경기둔화 위험으로 대손비용이 많이 증가할 수 있어 선제적으로 손실흡수 능력 점검, 채무 재조정 등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신진영 자본시장연구원장은 "국내 주식시장이 금리 인상 및 글로벌 경기침체 우려 등으로 단기간에 큰 폭으로 하락한 상황이며 채권 및 외환시장에서도 불확실성 증대로 변동성 확대가 예상되므로 시장에 대한 면밀한 모니터링이 필요하다"고 제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