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파워

2025.07.13 (일)

더파워

유류세 인하에도 기름값 고공행진... 정부 "정유업계 담합 여부 점검"

메뉴

경제

유류세 인하에도 기름값 고공행진... 정부 "정유업계 담합 여부 점검"

최병수 기자

기사입력 : 2022-06-27 13:18

사진=연합뉴스
사진=연합뉴스
[더파워=최병수 기자] 고유가 부담을 완화하기 위해 유류세를 30% 인하해 왔던 정부가 계속되는 기름값 고공행진에 정유업계를 대상으로 담합조사에 나선다.

유류세 인하에도 불구하고 기름값은 계속 오르는 추세인데, 얼마만큼이 유류세 인하 덕분에 '덜 오른' 것인지 정확히 알기 어려워서다.

27일 관계부처에 따르면 정부는 산업통상자원부와 공정위를 중심으로 합동점검반을 구성해 정유업계에서 불공정행위가 이뤄지지 않는지 점검할 예정이다. 주유업계에 대한 현장점검도 강화한다.

이번 조사는 정부의 유류세 인하 조치가 시장에 제대로 반영되고 있는지를 들여다보기 위해서다.

정부는 고유가 부담을 완화하기 위해 유류세를 30% 인하해 왔고, 다음 달 1일부터는 인하폭을 37%로 확대된다.

인하 폭이 그대로 소비자 가격에 반영되면 휘발유는 L당 57원, 경유는 38원, LPG 부탄은 12원의 추가 인하 효과가 생긴다. 유류세가 100% 적용될 때와 비교하면 L당 붙는 유류세가 휘발유는 304원, 경유는 212원, LPG는 73원 낮아진다.

소비자단체 E컨슈머 에너지·석유시장감시단은 최근 유류세 인하분을 충실히 반영한 주유소가 극소수에 불과하다는 자체 분석 결과를 내놨다.

환율을 고려한 국제 휘발유 가격은 이달 18일 기준으로 유류세 인하 전인 작년 11월 11일보다 L당 420원 올랐고, 유류세는 L당 247원 내렸는데 휘발유 가격은 그 차액인 173원보다 더 많이 올랐다는 것이다.

이 기간 전국 주유소의 휘발유 가격은 평균 294.52원 올랐고, 주유소 1만792곳 중 99.24%가 173원보다 휘발유 가격을 많이 인상한 것으로 집계됐다.

같은 기간 국제 경유 가격은 L당 558원 오르고 경유 유류세는 174원 내렸는데 전국 주유소의 평균 경유 판매 가격은 507.25원 오른 것으로 조사됐다. 1만792곳 중 99.65%가 384원보다 경윳값을 많이 인상했다.

정부는 이번 조사를 통해 정유사의 주유소 공급가격과 직영 주유소 판매가격의 경우 유류세 인하 즉시 가격을 낮추도록 유도한다는 계획이다.

news@thepowernews.co.kr
<저작권자 © 더파워,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주식시황
항목 현재가 전일대비
코스피 3,175.77 ▼7.46
코스닥 800.47 ▲2.77
코스피200 428.07 ▼0.35
암호화폐시황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59,974,000 ▼11,000
비트코인캐시 683,000 ▼1,500
이더리움 4,018,000 ▲4,000
이더리움클래식 24,810 ▲30
리플 3,780 ▼8
퀀텀 3,092 ▼15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59,994,000 0
이더리움 4,018,000 ▲9,000
이더리움클래식 24,820 ▲10
메탈 1,057 ▲3
리스크 594 ▼1
리플 3,782 ▼5
에이다 990 ▼7
스팀 194 ▲1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59,990,000 ▼80,000
비트코인캐시 683,000 ▼2,000
이더리움 4,019,000 ▲4,000
이더리움클래식 24,770 0
리플 3,782 ▼9
퀀텀 3,091 0
이오타 279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