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연합뉴스[더파워=최병수 기자]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이 저축은행 업계에 채무상환능력이 악화될 것으로 예상되는 취약계층에 대한 채무조정 프로그램을 재점검하고 지원이 확대되도록 배려해달라고 말했다.
이복현 원장은 8일 서울 저축은행 최고경영자들과의 간담회에서 코로나19 금융지원이 끝나고 금리 상승이 본격화하면 취약층의 채무상환 능력 악화가 예상된다며 이같이 말했다.
이어 취약 차주의 유형별 채무조정 프로그램을 다시 점검하고 지원이 확대되도록 배려해달라며 코로나19 극복 과정에서 단비 역할을 했던 중금리 대출도 생활자금이 필요한 분들에게 지속해서 공급될 수 있도록 해달라고 당부했다.
이 원장은 “생활자금이 필요한 분들에게 중금리 대출이 지속 공급될 수 있도록 하고, 금리 상승기에 금융소비자가 금리 인하 혜택을 받을 수 있도록 금리인하요구권 안내를 강화해달라”며 “취약계층 지원과 금융소비자 보호에 만전을 기대달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가계대출에서 다중채무자 대출의 건전성 관리 강화가 필요하다"면서 "다중채무자 대출에 대한 여신심사 및 사후관리를 강화하고 선제적으로 대손충당금을 적립해 부실 가능성에 대비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 원장은 금감원도 다중채무자 대출의 추가 대손충당금 적립방안을 금융위원회와 협의해 추진할 예정이라면서 "상환능력 범위 내 대출 관행이 조기 정착되도록 해달라"고 주문했다.
또한, "기업 대출의 경우 부동산 관련 대출로 쏠림현상을 완화하고 프로젝트 파이낸싱 대출 사업의 리스크에 대비해야 한다"면서 저축은행의 경우 PF 대출 등 부동산 관련 대출 비중이 전체 기업 대출의 절반가량을 차지하고 있다고 우려했다.
특히, “최근 일부 대출모집인이 서류를 위변조하면서까지 불법 사업자주택담보대출을 주도한 사례가 적발됐고, 거액의 횡령사고도 잇달아 발생했다”며 “대출 취급 시 차입 목적 등을 철저히 심사하고 대출 취급 후에도 유용 여부를 면밀히 점검해달라”고 말했다.
news@thepower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