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파워=최병수 기자] 6월 우리나라 소비(소매판매)가 전월대비 0.9% 줄어 4개월 연속 감소세를 보였다. 소비가 4개월 연속 줄어든 것은 1997∼1998년 외환위기 이후 처음이다. 산업생산과 투자는 두달 연속 늘었다.
29일 통계청 산업활동동향에 따르면 6월 소비 동향을 보여주는 소매판매액지수(계절조정)는 118.3(2015년=100)으로 전월보다 0.9% 줄었다.
2월에는 보합, 1월에는 2.0% 감소였던 것을 고려하면 실제 소비 침체는 넉달보다 더 길게 이어지고 있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통계청은 "6월은 화물 운송 차질 발생 등으로 차량 인도가 원활하지 않은 측면이 있었다"며 "예년보다 더운 날씨로 야외활동 수요가 감소해 준내구재 판매가 감소했고 물가 상승과 금리 인상 등으로 소비 심리가 다소 위축된 데 따른 영향도 있다"고 설명했다.
전(全)산업 생산(계절조정·농림어업 제외) 지수는 117.9(2015년=100)로 전월보다 0.6% 올랐다.
전산업 생산은 4월(-0.9%) 하락에서 5월(0.8%) 증가로 전환한 뒤 6월까지 두달 연속 증가를 나타냈다.
제조업이 지난해 12월(3.5%) 이후 최대폭인 1.8% 늘어 전산업 생산 증가를 견인했다. 반면 서비스업은 3∼5월 석달 연속 증가세를 멈추고 0.3% 떨어졌다.
설비투자는 4.1% 올랐으며 건설기성은 2.0% 감소했다.
현재 경기를 나타내는 동행지수 순환변동치는 102.4로 전월보다 0.2포인트(p) 올라 두달 연속 상승세를 보였으며 향후 경기를 예측하는 선행지수 순환변동치는 99.4로 보합이었다.
어운선 통계청 경제동향통계심의관은 "대면서비스업 중심으로 경기가 회복 흐름을 이어가는 양상이지만 우크라이나 사태 장기화, 글로벌 통화 긴축 기조 전환에 따른 금리 여건 악화, 물가 상승, 금리 인상에 따른 소비심리 위축 등 하방 요인이 상존해 향후 불확실성이 상당히 크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