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파워=최병수 기자] 2030세대 주택 매입 비중이 역대 최저치를 기록했다. 금리가 오르면서 대출 이자 부담이 커졌고 집값이 더 내릴 것이라는 불안감이 작용했다는 분석이다.
14일 부동산 정보제공 업체 경제만랩이 한국부동산원의 연령별 주택매입거래량을 분석한 결과, 올해 1~10월 전국 주택 매매량(44만9천967건) 중 30대 이하의 주택 매매량은 10만8천638건으로 전체의 24.1% 비중을 차지했다.
이는 부동산원이 관련 통계를 작성하기 시작한 2019년 이래(1~10월 기준) 가장 낮다.
30대 이하 주택 매입 비중이 지난해보다 가장 많이 줄어든 지역은 대전이다. 올해 1~10월 대전의 30대 이하 주택 매입 비중은 23.6%로 전년(28.5%)보다 4.9%포인트 하락했다.
수도권에선 경기도가 비중이 가장 많이 줄었다. 올해 1~10월 경기도의 30대 이하 주택 매입 비중은 27.5%로 전년(31.7%)보다 4.2%포인트 감소했다.
같은 기간 서울은 32.1%에서 28.0%로 줄어들었고, 인천은 27.0%에서 25.5%로 하락했다.
한편, 서울 25개 자치구에서 30대 이하 주택 매입 비중이 가장 큰 폭으로 하락한 곳은 성동구로 조사됐다. 지난해 성동구의 30대 이하 주택 매입 비중은 43.9%였는데 올해는 26.8%로 전년 대비 17.1%p나 하락했다.
황한솔 경제만랩 리서치연구원은 "실수요자들을 위해 대출 이자를 완화해주는 등 방안이 나오고 있지만 자금 마련에 대한 부담이 여전히 큰 게 사실"이라며 "집값이 계속 내리는 상황이다 보니 젊은 층들의 주택 매입은 앞으로 더 줄어들 가능성이 크다"고 진단했다.
news@thepower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