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파워

2025.07.10 (목)

더파워

내년 전기·가스요금 2배안팎으로 대폭 오른다... 한전 경영 정상화 위한 조치

메뉴

경제

내년 전기·가스요금 2배안팎으로 대폭 오른다... 한전 경영 정상화 위한 조치

최병수 기자

기사입력 : 2022-12-16 10:08

한국가스공사도 경영 정상화 위해 요금 인상 추진 중

사진=연합뉴스
사진=연합뉴스
[더파워=최병수 기자] 내년부터 전기요금과 가스요금이 올해 인상분의 2배 안팎으로 오를 전망이다.

산업통상자원부가 지난 15일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에 보고한 '한국전력공사 경영 정상화 방안' 문건에 따르면 산업통상자원부와 한전은 내년 기준연료비를 포함한 전기요금 인상 요인을 kWh(킬로와트시)당 51.6원으로 산정했다. 한전의 경영정상화를 위해 최소 이 이상의 요금을 책정해야 한다는 뜻이다.

전기요금은 기본요금·전력량요금(기준연료비)·기후환경요금·연료비 조정요금으로 구성돼 있다.

내년 인상 압력을 받는 전기요금 규모는 항목별로 kWh당 기준연료비 45.3원, 기후환경요금 1.3원, 연료비 조정단가 5.0원이다. 연료비 조정요금은 연간 상한을 kWh당 10원으로 확대한 것을 가정한 수치다.

올해 전기료는 세 차례(4·7·10월)에 걸쳐 kWh당 전력량요금 2.5원, 기준연료비 9.8원, 기후환경요금 2.0원, 연료비조정요금 5.0원씩 올라 총 19.3원 인상됐다.

내년에 인상 압력을 받는 전기료(kWh당 51.6원)가 올해 인상분(kWh당 19.3원)의 2.7배에 달하는 셈이다.

산업부와 한전은 올해 요금을 약 20% 인상했음에도 3분기까지 21조8000억원의 적자가 발생했으며 올해 말 별도 기준으로 적자 규모가 약 34조원에 이를 것으로 추산했다.

또한, 만약 내년 전기료 인상 요인을 분기별 '전고후저(前高後低)' 방식으로 분산 반영할 경우 영업이익이 1조9000억원의 흑자를 기록하지만 분기별 균등 분산 반영할 경우 연간 적자가 1조3000억원에 달할 것으로 내다봤다. 나아가 내년 인상 요인을 3년간 분기별로 균등 분산하면 내년 영업 적자 규모가 14조3000억원까지 확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산업부와 한전은 요금 정상화와 비용 최소화 노력 등을 통해 내년이나 2024년 흑자로 전환한 뒤 2025∼2026년 누적 적자를 해소하고, 2027년 말까지 경영을 정상화하는 방안을 제시했다.

이와 함께 한국가스공사도 경영 정상화를 위해 누적된 미수금을 조기에 회수할 필요가 있다며 요금 인상을 추진 중이다.

산업부와 가스공사는 가스요금을 내년 메가줄(MJ)당 최소 8.4원(2.1원씩 네 분기) 혹은 최대 10.4원(2.6원씩 네 분기) 인상하는 방안을 내놨다.

올해 가스요금은 주택용을 기준으로 네 차례(4·5·7·10월)에 걸쳐 5.47원 올랐다. 내년에는 가스요금이 올해 인상분의 최소 1.5배에서 최대 1.9배로 오르는 셈이다.

산업부와 공사는 내년 요금을 메가줄당 8.4원 올리면 2027년부터, 10.4원 올리면 2026년부터 미수금을 해소할 수 있을 것으로 분석했다.

산업부와 한전, 가스공사는 내년 요금 인상 방안에 대해 자체 시뮬레이션 결과로, 부처 간 협의가 필요해 확정된 사안이 아니라는 입장이다. 이에 따라 요금 인상 수준, 시기, 기간 등은 조정될 여지가 있다.

news@thepowernews.co.kr
<저작권자 © 더파워,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주식시황
항목 현재가 전일대비
코스피 3,143.02 ▲9.28
코스닥 794.33 ▲3.97
코스피200 423.41 ▲1.39
암호화폐시황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50,920,000 ▼65,000
비트코인캐시 697,500 ▲1,000
이더리움 3,755,000 ▼16,000
이더리움클래식 23,990 ▼70
리플 3,261 ▼15
퀀텀 2,885 ▲13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50,751,000 ▼340,000
이더리움 3,749,000 ▼19,000
이더리움클래식 23,930 ▼120
메탈 973 ▲2
리스크 555 ▼1
리플 3,260 ▼16
에이다 845 ▼3
스팀 182 ▼1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50,920,000 ▼140,000
비트코인캐시 698,500 ▲2,000
이더리움 3,758,000 ▼10,000
이더리움클래식 24,020 ▼80
리플 3,260 ▼19
퀀텀 2,860 0
이오타 234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