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파워=최병수 기자] 주택시장 거래 가뭄이 장기화되면서 올해 주택 수요자 절반 이상은 집값이 떨어질 것이라고 내다보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동산 정보 서비스 업체 직방은 2일 애플리케이션(앱) 이용자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한 결과 올해도 주택 매매가격이 내려갈 거로 전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이같이 밝혔다.
직방이 앱 접속자 3089명을 대상으로 모바일 설문조사를 진행한 결과 전체 응답자 중 77.7%가 하락할 것으로 응답했다. 10명 중 7명이 올해 주택 매매가격이 내려갈 것이라고 본 것이다. 반면 상승할 것이라고 답한 응답자는 10.2%에 불과했다. 보합은 12.1%로 나타났다.
거주 지역 별로는 서울(81.5%)과 지방 5대 광역시(80.7%)에 거주하는 응답자의 하락을 전망하는 응답 비율이 80% 이상으로 높았고 경기(74.8%), 인천(76.2%), 지방(75.3%)은 70%대를 보였다.
올해 주택 매매가격이 하락할 것이라고 예상하는 이유는 ‘금리 인상으로 인한 부담’이 58.2%로 과반수를 차지했다. 그다음으로는 △경기 침체 지속(19.5%) △현재 가격 수준이 높다는 인식(16.4%) 등이 다수 응답을 차지했다. 대다수가 올해와 같이 금리 인상에 따른 부담과 경기 침체를 우려했으며 현재 부동산 가격수준이 높다고 인식하는 응답도 10% 이상 있었다.
2023년 주택 매매가격 전망
전세 가격 역시 하락 전망이 우세했다. 응답자의 69.5%가 올해 거주지 주택 전셋값이 내려갈 것이라고 전망했다. '상승'은 13.1%, '보합'은 17.4%로 나타났다.
최근 몇 년간 가격 급등으로 현재 가격이 높다는 인식(18.2%), 임차보증금 반환 리스크(12.6%), 갭투자 관련 전세 매물 증가(11.1%)도 주요 이유로 꼽혔다.
거주지역별로는 서울(72.8%), 지방5대광역시(70.2%)가 70% 이상의 하락 응답 비율을 보였고 경기(68.2%), 인천(69.5%), 지방(66.1%)은 60%대의 하락 응답 비율을 나타냈다.
올해 거주지역 주택 월세가격에 대한 질문에는 ‘상승’(36.6%)과 ‘하락’(36.1%) 응답이 팽팽하게 나타났다. ‘보합’은 27.3%로 응답됐다. 미미하게 ‘상승’할 것이라고 답한 응답자가 많았고 거주지역별로는 수도권 거주 응답자는 ‘상승’, 지방5대광역시와 지방 거주 응답자는 ‘하락’ 전망이 많았다.
월세 하락 전망 이유로는 '월세 물량 증가'가 52.7%로 가장 많았고, 상승 전망 이유로는 '금리 인상에 의한 전세대출 부담으로 월세 수요 증가'(55.6%)가 많았다.
함영진 직방 빅데이터랩장은 “올해 부동산 시장은 ‘금리 인상’을 가장 큰 요인으로 보는 의견이 많았다”며 “시장 침체 전망이 우세한 만큼 금리 변동이 수요자들 선택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지켜봐여 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