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행이 13일 발표한 수출입물가지수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수출물가지수(원화 기준 잠정치·2015년 수준 100)는 118.03으로, 11월(125.51)보다 6.0% 낮아졌다.
두 달 연속 하락으로, 전월 대비 하락 폭은 2009년 4월(-6.1%) 이후 13년 8개월 만에 가장 컸다.
품목별로는 11월과 비교해 공산품 중 석탄·석유제품(-13.6%), 화학제품(-6.2%), 컴퓨터·전자·광학기기(-5.2%) 등의 하락 폭이 컸다.
세부 품목에서는 경유(-15.5%), 제트유(-14.5%), 휘발유(-12.4%), 자일렌(-10.3%),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12.4%), D램(-6.1%), 시스템반도체(-5.3%) 등의 가격이 뚜렷하게 낮아졌다.
서정석 한은 물가통계팀장은 "화학제품은 국제유가 하락 및 수요 부진으로 전월대비 6.2% 하락했으며, 컴퓨터·전자 및 광학기기는 반도체 가격 약세로 전월대비 5.2% 떨어졌다"고 설명했다.
12월 수입물가지수(원화 기준)는 11월(147.72)보다 6.2% 낮은 138.63으로 집계됐다.
역시 두 달 연속 하락했으며, 지난 2015년 1월(-7.5%) 이후 7년 11개월 만에 가장 많이 내렸다. 다만 2021년 12월과 비교하면 9.1% 올랐다.
주로 석유 등 광산품(-10.5%), 석탄·석유제품(-9.2%) 등이 수입 물가 하락을 이끌었다.
국제 유가가 11월 평균 86.26달러(두바이유·배럴당)에서 12월 77.22달러로 10.5% 떨어진 영향이 컸다. 세부 품목 가운데 원유(-14.9%), 나프타(-10.6%), 제트유(-14.7%), 자일렌(-11.4%), 닭고기(-17.2%) 등의 가격이 상대적으로 많이 하락했다.
지난 한 해 수출물가지수 평균값은 126.30으로, 전년보다 16.6% 올랐다. 지난해 수입물가지수 평균은 147.94로 전년보다 25.9% 올랐다.
서정석 한은 물가통계팀장은 "연간 기준으로 원/달러 환율이 12.9% 오르고 국제유가가 39.1% 상승했다"며 "수출 물가는 석탄·석유제품, 화학제품을 중심으로 올랐고, 수입 물가 역시 광산품 등 원재료와 석탄·석유제품, 화학제품 등 중간재를 중심으로 상승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