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파워=최병수 기자] 제2금융권이 최근 중저신용자 대상 대출을 줄인 것과 관련해 금융당국이 “어려운 환경에서도 서민금융창구로서의 역할을 지속해달라”고 당부했다.
이세훈 금융위원회 사무처장은 16일 '서민금융 현황 점검회의'를 주재하고 "저축은행, 여신전문금융사, 대부업체 등 서민금융기관의 적극적인 서민금융 지원 역할이 중요하다"며 이처럼 말했다.
이 처장은 "최근 시중금리 상승으로 서민·취약계층의 금융부담이 가중되고 금융 접근성이 위축되는 상황"이라며 "국민들 금융애로 완화를 위해 전 금융권의 전향적인 노력이 필요한 때"라고 했다.
그는 "리스크 관리나 수익성 악화를 이유로 신규 대출을 중단하는 등 시장 여건 변화에 따른 위험부담을 금융소비자에게 모두 전가하는 행태는 지양되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은행과 저축은행 등 전 금융권에 중·저신용자 대출 공급 및 중금리대출의 금년도 공급 계획을 차질없이 이행해 달라"면서 "금융당국이 공급현황을 주기적으로 점검하면서 공급 애로요인에 대해서는 필요한 중금리대출 활성화 방안도 검토해 나가겠다"고 언급했다.
금융위원회에 따르면 저축은행·여전사·대부업은 리스크관리, 조달금리 상승 등을 이유로 지난해 4분기부터 대출축소 움직임이 나타났다. 2금융권 대출 문턱이 높아지면서 금융 취약계층은 불법 사금융에 내몰릴 가능성이 높아졌다는 우려가 제기됐다.
금융업권별 가계대출 현황을 보면 여전사는 지난해 11월 가계대출이 전월 대비 1조원 줄었고, 12월에는 전월 대비 감소 폭이 1조6000억원으로 커졌다. 저축은행은 지난해 11월 가계대출이 1000억원 줄었고, 12월엔 5000억원 감소했다. 대부업 상위 10개사 가계대출도 11월 630억원, 12월 421억원 각각 줄어들었다.
이날 회의에서는 정책서민금융 및 민간 서민금융 지원 현황과 올해 공급계획이 논의됐다. 금융위에 따르면 지난해 정책서민금융 공급규모는 9조8000억원으로 예상된다. 2019년 8조원에서 꾸준히 늘어 10조원에 이르게 됐다.
최근에는 금융사들의 조달비용이 늘어 공급이 감소했다가, 올 초부터 대출한도를 확대하고 상품의 금리를 1%포인트(p) 높여 다시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실제로 근로자햇살론의 일평균 공급량은 지난해 12월 100억원으로 줄었다가 이달 들어 142억원으로 늘어났다.
인터넷은행의 경우 카카오·케이·토스뱅크 3사 모두 지난해 말 기준 중·저신용자 대출 비중이 25% 이상을 차지했다. 금융사들의 중금리대출 공급규모도 지난해 1~9월 기준 22조8000억원으로 2021년 전체 규모(21조6000억원)를 넘어섰다.
한편, 이날 회의에는 금융위 외에도 금융감독원, 서민금융진흥원, 서민금융 관련 금융협회 관계자들이 참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