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러다가 작년 826억8200만원(30명), 올해 580억7630만원(12명)으로 급증했다.
이는 지난해 우리은행 직원의 700억원대 횡령, 최근 BNK경남은행의 500억원대 횡령 사고 영향이다.
업권별 횡령 임직원 규모는 은행(113명)이 가장 많았다. 이어 보험(59명), 증권(15명), 저축은행(11명), 카드(4명) 등이었다.
횡령 규모도 은행이 가장 컸다. 은행에서 나온 횡령 금액은 1509억8010만원으로, 전체 횡령 금액 중 83.1%를 차지했다. 다음으로 저축은행(169억2180만원)이 9.3%, 증권(86억9600만원)이 4.8%, 보험(47억4200만원) 2.6%, 카드(2억6600만원) 0.2% 순이었다.
은행 중 횡령 직원이 가장 많았던 곳은 하나은행(21명), 규모가 가장 큰 곳은 우리은행(733억3110만원)이었다.
최근 금융권 횡령 사고가 급증하고 있는 가운데 환수는 제대로 이뤄지지 않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7년간 횡령액 중 환수가 이뤄진 금액은 224억6720만 원이다. 이는 12.4% 환수율에 불과했다.
특히 은행의 경우 환수율은 7.6%(환수금 114억9820만원/전체 횡령액 1천509억8010만원)에 그쳤다.
금융당국은 최근 급증하는 금융권 횡령 사고 원인과 관련해 임직원의 준법 의식 취약과 더불어 금융사고 예방을 위한 은행 내부통제가 실효성 있게 작동하지 못한다는 점을 들고 있지만, 일각에서는 금융당국의 관리 감독 부실에 대한 지적의 목소리도 나온다.
강민국 의원은 "지난 1년간 금융당국이 연달아 금융권 내부통제 제도 개선안을 발표했음에도 오히려 횡령 사고가 더 증가했다는 것은 해당 대책들의 실효성이 떨어진다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금융권 횡령을 내부통제 문제로만 인식해 셀프 준법 경영 문화 정착에만 역량을 집중할 경우 횡령은 만연할 수밖에 없다"며 "철저한 관리 감독과 최고경영자(CEO)까지 책임을 묻는 강력한 제도 개선 방안이 마련돼야 한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