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파워 최병수 기자] 올해 2분기(4∼6월) 가계 빚이 전 분기보다 9조5000억원 늘어 3분기 만에 증가세로 전환했다.
한국은행이 22일 발표한 ‘2023년 2분기 가계신용(잠정)’ 통계를 보면 올해 6월 말 기준 가계신용 잔액은 1862조8000억원으로 1분기 말보다 9조5000억원(0.5%) 늘었다.
'가계신용'은 가계가 은행·보험사·대부 업체·공적 금융기관 등에서 받은 대출에다가 결제 전 카드 사용금액(판매신용)까지 더한 '포괄적 가계 빚(부채)'을 말을 뜻한다.
가계신용은 금리 인상을 비롯한 통화 긴축 속에서 지난해 4분기 3조6000억원, 올해 1분기 14조3000억원 연속으로 뒷걸음쳤지만, 세 분기 만에 다시 반등했다. 다만 전년 동기보다는 5조6000억원 적은 상태다.
가계대출만 보면, 올 2분기 말 잔액이 1748조9000억원으로 전기대비 10조1000억원 증가했다.
특히 가계대출 가운데 주택담보대출(잔액 1031조2000억원)이 14조1000억원 늘어 직전 분기에 이어 최대 잔액 규모를 또다시 갱신했다. 증가 폭도 1분기(4조5000억원)의 3배를 상회했다.
신용대출을 포함한 기타 대출은 4조원 줄면서 7분기 연속 감소세를 유지했다. 감소 폭은 가정의 달 등 계절 요인과 증권사의 신용공여 증가 등에 따라 전분기(-15.5조원) 대비 축소됐다.
창구별로는 예금은행에서 가계대출이 3개월 사이 4조원 증가했지만, 상호금융·상호저축은행·신용협동조합 등 비은행예금 취급기관에서는 6조5000억원 줄었다.
서정석 한은 금융통계팀장은 "주택담보대출은 주택 거래 회복으로 인해 증가 규모가 크게 확대됐다"면서 "일반 주택담보대출과 정책 모기지가 모두 증가해 두 부분이 같이 증가세에 영향을 미쳤다"고 설명했다.
판매신용은 2분기 6000억원 감소했다. 할부금융회사가 할부금융 위험 관리를 강화하면서 판매신용이 전반적으로 줄었지만, 5월 가정의 달 관련 소비 등 계절적 요인으로 신용카드 사용액이 늘어 전체 감소액은 1분기(-3조3000억원)보다 축소됐다.
서 팀장은 "가계신용 증가 규모가 2020~2021년 분기별 30조원 이상 증가한 시기 등과 비교해 큰 편은 아니지만 적지 않아 한은과 정부 등 관계 당국에서 주목하고 있다"며 "당국은 국내총생산(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이 더 높아지지 않도록 단계적으로 관리해야 한다는 공감대를 형성했기에 앞으로의 추이는 지켜볼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