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출 3.5% 증가하며 순수출이 0.4% 끌어올려
사진=연합뉴스 [더파워 최병수 기자] 3분기(7~9월) 우리나라 경제가 가까스로 0.6% 성장했다. 다만, 올해 연간 1.4% 성장이라는 전망치를 달성할 수 있을지는 아직 불투명하다.
한국은행은 올해 3분기 국내총생산(GDP)이 전 분기보다 0.6% 늘었다고 26일 밝혔다. 올해 들어 3분기 연속 플러스(+) 성장세다. 전년 대비로는 1.4% 늘었다.
2분기 성장률을 부문별로 보면 민간소비가 음식·숙박 등의 서비스를 중심으로 0.3% 늘었다. 정부소비도 건강보험급여 등 사회보장 현물 수혜 위주로 0.1% 증가했고, 건설투자도 건물건설과 토목건설이 모두 늘면서 2.2% 성장했다.
수출은 반도체·기계 등을 중심으로 3.5%, 수입은 석유제품 등을 위주로 2.6% 각각 늘었다. 하지만 설비투자의 경우 기계류의 부진으로 2.7% 감소했다.
수출에서 수입을 뺀 순수출의 성장 기여도는 0.4%포인트를 기록했다. 순수출은 작년 2분기부터 4분기 연속 경제에 마이너스 요인으로 작용한 바 있다. 하지만, 지난 2분기 수입이 수출보다 큰 폭으로 줄어든 탓에 플러스로 전환했다.
2분기 성장률에 가장 크게 기여한 항목은 순수출(수출-수입·0.4%p)이었고, 건설투자(0.3%p)와 민간소비(0.2%p)도 플러스(+)를 기록했다. 반대로 설비투자는 성장률을 0.2%p 깎아내렸다.
3분기 실질 국내총소득(GDI)은 2분기보다 2.5% 늘어 증가율이 실질GDP(0.6%)를 웃돌았다.
정부와 한은은 올해 경제 전망을 ‘상저하고(上低下高·상반기는 부진하고 하반기에 회복된다는 뜻)’로 보고 있다. 한은은 올해 성장률이 1.4% 될 것이라고 제시했다. 한은에 따르면, 하반기엔 1.7% 성장해야 올해 전체로 1.4% 성장을 달성할 수 있다. 하지만 전쟁과 고금리, 고물가로 4분기 경기가 3분기보다 더 나쁠 가능성이 큰 것을 고려하면 쉽지 않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