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파트 거주자군에서는 '20만~30만원'이 43.3%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했다. 오피스텔 거주자군은 '10만~20만원'이 52.7%, 연립(빌라)·다세대주택 거주자군은 '10만원 미만'이 62.7%를 각각 차지했다. 단독·다가구주택 거주자군은 '10만원 미만'이 60.5%로 가장 많았다.
방 개수별 월평균 관리비를 살펴보면 원룸 거주자는 10만원 미만이 46.2%, 투룸 거주자는 10만∼20만원이 45.1%, 방 3개 이상 거주자는 20만∼30만원 미만이 43.0%로 각각 가장 많았다.
납부하는 관리비 금액 수준에 대해선 응답자의 74.9%가 '비싸다'고 반응했다. 이어 '적정하다' 23.4%, '저렴하다' 1.7% 등이었다. 오피스텔에 거주하는 응답자군에서 관리비가 비싸다는 응답(88.4%)은 다른 군보다 높게 나타났다.
거주형태나 방수에 따라서도 체감하는 관리비 금액 수준이 다른 편이었다. 상대적으로 월세 임차인(81.7%)이 자가(71.1%)나 전세 임차인(73.4%)보다 관리비가 비싸다고 느끼는 응답이 더 높았다. 원룸 거주자(83.0%)가 투룸(74.6%)이나 스리룸 이상(72.3%) 거주자보다 관리비 부담을 더 크게 느끼고 있었다.
관리비 개선점에 대해선 '관리비 확인, 비교할 수 있는 투명한 정보 공개 필요'에 42.2%가 응답했다. ▲금액 산정 기준의 명확(31.3%) ▲개별 세대 계량기 설치로 정확한 수치 측정(11.2%) ▲정액제가 아닌 세부 명세 표시(7.6%) ▲임대료에 관리비 전가 문제 해결(6.1%) 등이 뒤를 이었다.
직방 관계자는 "주거 취약계층에게 관리비가 큰 부담인 만큼 투명하고 정확한 관리비 산정과 정보 공개가 필요하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