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파워

2025.07.13 (일)

더파워

대세는 '나혼산'... 미혼싱글·독거노인 등 1인세대 비중 40% 달해

메뉴

경제

대세는 '나혼산'... 미혼싱글·독거노인 등 1인세대 비중 40% 달해

최병수 기자

기사입력 : 2024-01-04 13:10

사진=연합뉴스
사진=연합뉴스
[더파워 최병수 기자] 미혼 싱글, 독거노인 등이 갈수록 늘어나면서 전체 주민등록상 세대에서 1인 세대의 비중이 40%를 넘어섰다.

4일 행정안전부 '주민등록 인구 기타 현황'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기준 주민등록상 전체 세대 수는 2391만4851개로 집계됐다. 이는 2022년 12월 기준 2370만5814개보다 20만9037개(0.9%) 증가한 수치다.

특히 1인 세대는 993만5600개로, 2022년 12월 972만4256개보다 21만1344개 늘어 전체 세대 증가세를 1인 세대가 주도했다. 이는 통계청이 추산한 지난해 1인 가구 비중(34%)보다 훨씬 높은 수치다.

가구 수의 경우 실제로 함께 살지 않아도 생계 등을 같이 하는 경우 1가구로 집계하지만, 세대는 주민등록 주소지를 기준으로 구분하기 때문이다. 즉, 부부와 자녀 1명은 3인 가구지만, 이들이 주말 부부로 떨어져 살고 자녀 또한 학업 등을 이유로 다른 주소에 산다면 1인 세대 3개가 되는 것이다.

2인 세대는 2022년 574만4486개에서 지난해 586만6073개로, 3인 세대는 401만553개에서 402만9815개로 다소 늘어났다. 반면 4인 세대는 325만715개에서 314만8835개로, 5인 세대는 77만6259개에서 74만3232개로 감소하는 등 '다인 세대'는 대체로 줄어드는 경향을 보였다.

같은 기간 세대당 인구는 2.17명에서 2.15명으로 소폭 줄었다. 지역별로 보면 경기도 세대가 597만8724개, 서울시 세대가 446만9417개로 수도권에 거주하는 세대가 전체의 44%를 차지했다. 세대 수가 가장 적은 곳은 세종시(16만835개)였다.

행안부 관계자는 "미혼 싱글, 독거노인 등이 갈수록 늘어나면서 1인 세대의 비중이 40%를 넘어선 것으로 보인다"며 "정부로서도 1인 세대의 증가에 따른 정책 대응을 고민할 필요가 있어 보인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더파워,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주식시황
항목 현재가 전일대비
코스피 3,175.77 ▼7.46
코스닥 800.47 ▲2.77
코스피200 428.07 ▼0.35
암호화폐시황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60,099,000 ▲230,000
비트코인캐시 684,500 ▲3,000
이더리움 4,020,000 ▲18,000
이더리움클래식 24,820 ▲140
리플 3,782 ▲14
퀀텀 3,091 ▲10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60,133,000 ▲199,000
이더리움 4,020,000 ▲23,000
이더리움클래식 24,810 ▲110
메탈 1,053 ▲6
리스크 594 ▲1
리플 3,779 ▲11
에이다 989 ▲5
스팀 194 ▲1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60,200,000 ▲250,000
비트코인캐시 684,500 ▲3,000
이더리움 4,023,000 ▲20,000
이더리움클래식 24,840 ▲140
리플 3,782 ▲12
퀀텀 3,113 ▲22
이오타 274 ▼5
모바일화면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