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파워

2025.07.13 (일)

더파워

경기부진에 단순노무직 12만명 감소... 25년만에 최대 낙폭

메뉴

경제

경기부진에 단순노무직 12만명 감소... 25년만에 최대 낙폭

최병수 기자

기사입력 : 2024-01-15 09:20

제조업 부진 영향... "저소득층 소득 감소로 이어져"

사진=연합뉴스
사진=연합뉴스
[더파워 최병수 기자] 지난해 제조업 부진 영향으로 단순노무직 취업자가 12만명 가량 급감하면서 외환위기 이후 25년만에 가장 큰 폭으로 감소한 것으로 조사됐다.

15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에 따르면 지난해 단순노무 종사자는 392만7000명으로 전년(404만5000명)보다 11만8000명(2.9%) 감소했다.

이는 통계청 7차 직업분류 기준에 따라 통계가 집계되기 시작한 2013년 이후 최대 폭이다. 과거 직업 분류 기준까지 포함하면 외환위기 당시인 1998년 26만5000명 줄어든 뒤로 가장 큰 폭의 감소세다.

다만 외환위기 당시는 전체 취업자 수가 127만명 줄어드는 등 고용 시장 전체가 패닉 상태였다는 점에서 고용 부진이 일부에 집중된 지난해와 상황이 다르다. 지난해 전체 취업자 수는 전년보다 32만7000명 증가했다.

단순노무직은 2018년 5만명 줄어든 뒤로 매년 증가했지만 지난해 5년 만에 큰 폭의 마이너스로 돌아섰다. 산업별로 보면 제조업 단순노무직 취업자 감소 폭이 전체의 절반 이상을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글로벌 교역 위축으로 제조업이 부진했던 영향이다.

반도체 중심의 제조업 업황 개선 조짐은 지난해 하반기부터 감지됐지만 고용 시장 회복은 더디게 진행됐다. 제조업 취업자 수는 지난해 1월부터 11개월 연속 줄다가 12월이 돼서야 1만명 증가세로 전환했다.

단순노무직 일자리 한파는 저소득층 가계 부담으로 이어지고 있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지난해 3분기 소득 하위 20%인 1분위 가구의 월평균 소득은 112만2천원으로 전체 소득 5개 분위 가구 중 유일하게 감소(-0.7%)했다.

김광석 한국경제산업연구원 경제연구실장은 "고용 유발 효과가 적은 자본집약적 산업 중심의 제조업 성장세에 더해 경기적 요인까지 겹치면서 단순노무직이 빠르게 줄어든 것"이라며 "지난해 3분기 저소득가구만 소득이 줄어든 배경 중 하나로 보인다"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더파워,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주식시황
항목 현재가 전일대비
코스피 3,175.77 ▼7.46
코스닥 800.47 ▲2.77
코스피200 428.07 ▼0.35
암호화폐시황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60,406,000 ▲198,000
비트코인캐시 688,500 ▲1,000
이더리움 4,042,000 ▲1,000
이더리움클래식 24,920 ▼30
리플 3,828 ▲16
퀀텀 3,112 ▼4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60,553,000 ▲196,000
이더리움 4,044,000 ▲3,000
이더리움클래식 24,870 ▼90
메탈 1,066 ▲2
리스크 599 ▼1
리플 3,833 ▲19
에이다 1,004 ▲1
스팀 196 ▲0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60,490,000 ▲250,000
비트코인캐시 688,500 0
이더리움 4,045,000 ▲3,000
이더리움클래식 24,950 ▼30
리플 3,829 ▲15
퀀텀 3,115 0
이오타 295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