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파워

2025.07.14 (월)

더파워

올해 상반기 일자리 전망은... 조선·철강·반도체 '맑음', 섬유 '흐림'

메뉴

경제

올해 상반기 일자리 전망은... 조선·철강·반도체 '맑음', 섬유 '흐림'

최병수 기자

기사입력 : 2024-01-29 14:59

고용정보원 전망…전자·건설·금융업 등은 작년 수준

사진=연합뉴스
사진=연합뉴스
[더파워 최병수 기자] 올해 상반기에 조선·기계·철강·반도체·자동차 업종 일자리가 늘어날 것이란 전망이 나왔다. 주요 업종 중에선 섬유만 일자리가 줄어들 것으로 예상된다.

한국고용정보원과 한국산업기술진흥원은 기계, 조선, 전자, 섬유, 철강, 반도체, 자동차, 디스플레이 등 국내 8개 주력 제조업종과 건설업, 금융·보험업 등 총 10개 업종에 대한 상반기 일자리 전망을 29일 발표했다.

이 연구는 고용보험 피보험자 자료, 직종별사업체노동력조사, 경제활동인구조사 등을 활용해 조사했다. 지난해 상반기에 비해 고용 증가율이 1.5% 이상이면 ‘증가’, -1.5% 이상 1.5% 미만이면 ‘유지’, -1.5% 미만이면 ‘감소’로 본다.

조선업 일자리는 친환경 선박 수요와 수출 증가에 따라 전년 대비 6000명(6.1%)가량 증가할 것으로 예측됐다. 전 세계 선박 발주량이 지난해에 비교해 소폭 증가하고 친환경 선박 수요가 늘어나는 것이 요인으로 꼽혔다.

철강과 반도체도 각각 3000명(2.4%) 수준으로 일자리 증가세를 유지할 것으로 보인다. 전방산업 부진으로 생산 규모는 지난해와 유사하지만, 인도 등 신흥시장 성장으로 수출이 증가하고 탄소중립 ‘그린스틸’ 생산을 위한 투자가 확대될 것으로 예상된다.

반도체는 기저효과와 메모리 업황 개선으로 수출이 증가해 고용도 함께 늘어날 것으로 예측됐다.

기계 업종은 고용이 2.0%(1만6000명)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주요국 인프라 투자와 에너지·친환경 인프라 투자 증가로 수출과 내수가 동반 증가하면서 일자리가 확대될 것으로 분석했다.

자동차 업종은 내수 시장 현상 유지와 수출 성장 기조의 영향으로 고용이 1.9%(7000명)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반면 섬유 업종은 2.1%(3000명) 감소할 것으로 전망된다. 세계경기 성장세 둔화로 인해 전 세계 섬유 수요가 감소하고 중국 및 베트남 등 근거리 시장의 섬유 수요도 위축될 것으로 예상된다.

나머지 전자(0.9%), 디스플레이(-1.4%), 건설(0.7%), 금융·보험(-0.2%) 업종은 대체로 작년 상반기 수준의 고용이 유지될 것으로 전망된다.

전자의 경우 글로벌 IT제품 수요 증가와 우크라이나 전쟁 장기화, 중동지역 불안정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고, 건설업은 건설 수요와 투자 감소에도 인테리어 수요 등 전문직별 공사업 수요가 소폭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올해 상반기 일자리 전망은... 조선·철강·반도체 '맑음', 섬유 '흐림'


<저작권자 © 더파워,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주식시황
항목 현재가 전일대비
코스피 3,175.77 ▼7.46
코스닥 800.47 ▲2.77
코스피200 428.07 ▼0.35
암호화폐시황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60,702,000 ▲144,000
비트코인캐시 686,500 ▼500
이더리움 4,053,000 ▲9,000
이더리움클래식 25,050 ▲30
리플 3,833 ▼24
퀀텀 3,147 ▲13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60,718,000 ▲167,000
이더리움 4,051,000 ▲10,000
이더리움클래식 25,050 ▲70
메탈 1,080 ▲5
리스크 602 ▼1
리플 3,832 ▼22
에이다 1,004 ▼3
스팀 200 ▲3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60,710,000 ▲200,000
비트코인캐시 686,000 ▼1,000
이더리움 4,052,000 ▲10,000
이더리움클래식 25,020 ▼10
리플 3,832 ▼40
퀀텀 3,143 ▲6
이오타 296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