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파워 최병수 기자] 지난해 전국 지방공공요금 인상 폭이 최근 5년 사이 가장 높았던 것으로 나타났다.
18일 행정안전부에 따르면 상하수도·시내버스·지하철·택시·쓰레기봉투 요금 등 지방공공요금 6종은 지난해 3.7% 인상됐다.
지방공공요금은 2019년 3.5% 인상된 이후 2020년 1.8%, 2021년 0.6%로 증가 폭이 감소하다가 2022년 0.8%로 소폭 커졌다.
항목별로 살펴보면 지난달 전국 지하철 요금의 평균 현금 가격은 1541원으로 전년 같은 달 1376원과 비교해 165원(12%) 늘어났다. 지하철 요금은 지난해 10월 수도권과 부산·춘천·천안 등 다수 지역에서 일제히 오른 탓에 증가 폭이 더 컸다.
가정용 하수도료는 8504원으로 316원(3.9%), 상수도료는 1만3615원으로 346원(2.6%) 올랐다. 택시 요금 역시 지난해 1월 울산·대구를 시작으로 2월 서울, 7월 경기·인천·광주·대전 등 대부분 지자체에서 기본요금이 인상됐다.
중형 택시의 경우 지난달 평균 가격이 4057원으로, 전년 동월 3674원보다 783원(21%) 많았다.
시내버스 요금도 소폭 증가했다. 시내버스 요금은 지난해 1월 강원, 8월 서울·울산, 10월 인천·부산에서 올랐다. 지난달 평균 시내버스 현금 요금은 1447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75원(5.5%), 카드 요금은 1371원으로 81원(6.3%) 늘었다.
도소매를 합한 도시가스 요금의 평균은 1만1261원으로 전년 동월 1만671원 대비 590원(5.5%) 올랐으며, 쓰레기봉투 요금은 504원에서 506원으로 2원 인상됐다.
쓰레기봉투 요금은 504원에서 506원으로 2원 비싸졌다.
행안부 관계자는 "공공요금은 지자체장이 결정하는 것이지만 한 지역의 변동이 다른 지역에도 파급 효과가 있어 행안부에서 전체적인 동향을 파악해야 한다"며 "정부가 물가 및 서민 생활 안정을 올해 최우선 경제정책 기조로 삼은 만큼 지방 공공요금 동결 기조를 유지할 수 있도록 지자체와 협조할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