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파워

2025.07.14 (월)

더파워

작년 1인당 국민소득 3만3745달러…1년만에 반등

메뉴

경제

작년 1인당 국민소득 3만3745달러…1년만에 반등

최병수 기자

기사입력 : 2024-03-05 09:04

달러 기준 명목GDP 2.4% 늘고 원화 가치 안정된 영향

사진=연합뉴스
사진=연합뉴스
(더파워뉴스=최병수 기자) 작년 우리나라 달러 기준 1인당 국민총소득(GNI)이 2.6% 늘며 반등했다. 지난해 4분기와 연간 실질 국내총생산(GDP) 성장률 잠정치는 속보치와 같은 0.6%, 1.4%를 유지했다.

5일 한국은행은 '2023년 4분기 및 연간 국민소득(잠정)' 통계를 발표하고, 지난해 1인당 GNI가 3만3745달러로 2022년(3만2886달러)보다 2.6% 증가했다고 밝혔다. 원화 기준으로는 4405만원으로 전년보다 3.7% 많았다.

지난해 명목 GDP가 원화 기준 2236조3000억원, 달러 기준 1조7131억달러로 전년보다 각 3.4%, 2.4% 성장한 데다 2022년과 비교해 원/달러 환율이 안정된 영향으로 분석된다.

우리나라 1인당 GNI는 2017년(3만1734달러) 처음 3만달러대에 진입한 이후, 2018년 3만3564달러까지 늘었다가 2019년(3만2204달러)과 2020년(3만2004달러) 2년 연속 줄었다. 2021년엔 반등에 성공해 3만5373달러까지 올랐지만, 2022년(3만2886달러) 들어 다시 줄었다.

달러화 기준 1인당 GNI는 국민의 생활 수준을 보여주는 지표로 명목 국내총생산(GDP)에서 명목 국외순수취요소소득을 더해 명목 총 소득을 구한 값을 국제 비교를 위해 달러로 환산하고 이를 다시 국민 수로 나눈 값이다.

지난해 4분기 실질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잠정치·전분기 대비)은 0.6%로 집계됐다. 이는 지난 1월 25일 발표한 속보치와 동일한 수치다.

GDP는 2022년 4분기 -0.4%를 기록해 2년 6개월 만에 마이너스를 기록했지만 지난해 1분기 0.3%으로 반등한 후 2분기와 3분기 각각 0.6%씩 성장했다.

부문별로 작년 4분기 성장률을 살펴보면 민간 및 정부소비, 설비투자, 수입·수출이 늘었으나 건설투자 등이 감소했다.

작년 민간소비는 거주자 국외 소비지출을 중심으로 0.2% 늘었다. 정부소비도 건강보험급여 등 사회보장 현물 수혜와 물건비 위주로 0.5% 증가했다. 설비투자는 운송장비 등의 호조로 3.3% 성장했다. 다만 건설투자는 건물·토목 건설이 모두 줄면서 4.5% 감소했다.

수출은 반도체 등을 중심으로 3.5% 증가했다. 수입은 석유제품 등을 중심으로 1.4% 늘었다. 지난해 경제성장률은 1.4%로 지난 1월 속보치와 동일했다.

<저작권자 © 더파워,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주식시황
항목 현재가 전일대비
코스피 3,175.77 ▼7.46
코스닥 800.47 ▲2.77
코스피200 428.07 ▼0.35
암호화폐시황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60,953,000 ▲259,000
비트코인캐시 688,000 ▲1,500
이더리움 4,046,000 ▲3,000
이더리움클래식 25,110 ▼20
리플 3,860 ▼21
퀀텀 3,141 ▲5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60,842,000 ▲165,000
이더리움 4,048,000 ▲6,000
이더리움클래식 25,100 ▼20
메탈 1,075 ▼1
리스크 601 ▼1
리플 3,859 ▼19
에이다 1,011 ▲2
스팀 198 ▼1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60,840,000 ▲150,000
비트코인캐시 686,000 ▼1,000
이더리움 4,056,000 ▲14,000
이더리움클래식 25,040 ▲120
리플 3,844 ▼15
퀀텀 3,147 ▲10
이오타 296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