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파워뉴스=최병수 기자) 우리나라의 가계부채와 기업부채 수준이 14분기째 위험 수위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1972년 관련 통계 작성 후 최장기간이다.
지난 6일 연합뉴스와 국제결제은행(BIS) 자료에 따르면 ‘신용 갭’은 지난해 3분기 말 10.5%포인트로, 2020년 2분기 말부터 줄곧 10%포인트를 상회했다.
한국의 신용 갭은 지난 2020년 2분기를 시작으로 줄곧 10%p를 웃돌고 있다. 1972년 관련 통계가 작성된 이후로 최장기간이다. 신용 갭은 부채의 위험도를 평가하는 지표로 명목 국내총생산(GDP) 대비 민간신용(가계·기업부채) 비율이 장기적 추세에서 어느 정도 벗어났는지를 나타낸다.
BIS는 신용 갭이 10%포인트를 초과하면 ‘경보’ 단계, 2~10%포인트면 ‘주의’ 단계, 2%포인트 미만이면 ‘보통’ 단계로 각각 분류한다.
우리나라 신용 갭은 2019년 2분기 말(3.0%포인트) 주의 단계로 진입했다. 이후 치솟은 신용 갭은 2020년 2분기 말 12.9%포인트로 10%포인트를 넘어서 위험 수위인 경보 단계에 이르렀다. 2021년 3분기 말(17.4%포인트)엔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이후 지난해 3분기 말에 이르기까지 여전히 10%포인트를 상회하고 있다.
이는 GDP 대비 민간신용 비율이 지난해 3분기 말 225.5%에 달해, 2020년 1분기 말(200.0%) 이후 15분기째 200%를 웃도는 상황이 반영된 결과다.
지난해 3분기 말 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은 101.5%, GDP 대비 기업부채 비율은 124.0%로 각각 집계됐다.
과거 신용 갭이 10%p를 넘나든 기간은 매우 드물었다. 외환위기 때인 1997년 4분기 말(13.2%p)부터 1998년 3분기 말(10.5%p)까지, 금융위기 때인 2008년 4분기 말(10.7%p)부터 2009년 4분기 말(11.2%p)까지 등이었다.
앞서 1980년대 초반에도 두 차례 10%p를 넘은 적이 있지만, 그런 상황이 1년 넘는 기간 연속으로 이어지지는 않았다.
외국 사례와 비교해보더라도 지난해 3분기 말 신용 갭이 10%포인트를 초과한 국가는 BIS 조사 대상 44개국 가운데 일본(13.5%포인트)과 한국뿐이었다. 태국(8.0%포인트), 사우디아라비아(2.2%포인트), 아르헨티나(1.5%포인트) 등 소수의 나라를 제외하면 신용 갭은 모두 마이너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