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파워

2025.07.14 (월)

더파워

非아파트 신규 세입자 70%는 월세... 지방서 두드러져

메뉴

경제

非아파트 신규 세입자 70%는 월세... 지방서 두드러져

최병수 기자

기사입력 : 2024-04-01 09:08

여전한 전세사기 '그림자'…아파트 전세로 갈아타는 빌라 세입자들

사진=연합뉴스
사진=연합뉴스
(더파워뉴스=최병수 기자) 빌라 등 비(非)아파트의 신규 전월세 거래에서 10명 중 7명이 월세 계약을 맺은 것으로 나타났다.

1일 국토교통부가 발표한 '2월 주택통계'에 따르면 올해 1∼2월(누계) 전국 비아파트 임대차 거래 중 월세 거래 비중은 70.7%로 집계됐다.

전국의 비아파트 전월세 거래에서 월세가 차지하는 비중은 2022년 54.6%였으나 지난해 66%, 올해는 70%대로 급격히 확대됐다. 2년 새 16.1%포인트가 뛰었다.

특히 지방의 월세화가 가파르다. 비아파트 월세 비중이 올해 1∼2월 77.5%로, 수도권(67.8%)보다 10%포인트 가까이 높다. 서울의 월세 비중은 69.7%다.

전세사기 여파로 빌라 전세 기피 현상이 심해진 데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

아파트 전세로 갈아타려는 수요가 늘면서 아파트의 월세 비중은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 전국 아파트 전월세 거래 중 월세가 차지하는 비중은 지난해 1∼2월 43.9%에서 올해 1∼2월 42.2%로 1.7%포인트 낮아졌다. 서울 아파트의 월세 비중이 46.2%에서 41.6%로 4.6%포인트, 지방 아파트는 43.3%에서 41.0%로 2.3%포인트 각각 감소했다.

전세금 반환 보증보험 제도 개편으로 인해 빌라 월세화가 더 빨라졌다는 분석도 나왔다. 정부가 전세사기를 막기 위해 전세금이 공시가격의 126% 이하일 때 보증보험에 가입할 수 있도록 문턱을 높이자, '공시가격X126%'는 빌라 전셋값의 공식처럼 돼 버렸다.

올해부터는 신규 전세 계약뿐 아니라 갱신 계약에도 강화된 기준(공시가격X126%)이 적용되는 데다, 지난해에 이어 빌라 공시가격이 추가로 하락하면서 집주인들은 보증금을 더 낮춰야 하는 상황이 됐다. 그러자 보증보험에 가입할 수 있도록 전세금을 낮추되 차액을 월세로 돌리려는 집주인들이 늘고 있다.

전체 주택도 전세 거래량은 줄고, 월세 거래는 증가하는 모습이다. 지난 2월 전국 주택 전세 거래량은 10만7811건으로 작년 같은 기간보다 10.8% 줄었으나, 월세 거래량은 15만4712건(보증부 월세·반전세 포함)으로 1.6% 늘었다.

<저작권자 © 더파워,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주식시황
항목 현재가 전일대비
코스피 3,175.77 ▼7.46
코스닥 800.47 ▲2.77
코스피200 428.07 ▼0.35
암호화폐시황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61,108,000 ▼251,000
비트코인캐시 690,000 ▲500
이더리움 4,042,000 ▼10,000
이더리움클래식 25,080 ▼90
리플 3,843 ▼23
퀀텀 3,130 ▼16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61,213,000 ▲14,000
이더리움 4,042,000 ▼8,000
이더리움클래식 25,120 ▼70
메탈 1,068 ▼8
리스크 598 ▼3
리플 3,845 ▼21
에이다 1,002 ▼7
스팀 198 ▼0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60,840,000 0
비트코인캐시 686,000 0
이더리움 4,056,000 0
이더리움클래식 25,040 0
리플 3,844 0
퀀텀 3,147 0
이오타 296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