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파워

2025.07.13 (일)

더파워

올해 한국 과일·채소값 가장 많이 올랐다...대만의 2.5배

메뉴

경제

올해 한국 과일·채소값 가장 많이 올랐다...대만의 2.5배

최병수 기자

기사입력 : 2024-04-22 09:13

에너지류 소비자물가도 2위…"한국 물가, 중동사태·기후변화 등에 가장 취약"

사진=연합뉴스
사진=연합뉴스
(더파워뉴스=최병수 기자) 주요 선진국이나 경제 구조가 비슷한 대만과 비교해 우리나라의 과일·채소 가격이 올해 들어 가장 크게 뛰었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22일 글로벌 투자은행(IB) 노무라증권에 따르면 G7(미국·일본·영국·캐나다·독일·프랑스·이탈리아)과 전체 유로 지역, 대만과 한국의 올해 1∼3월 월평균 소비자물가지수(CPI) 상승률을 비교한 결과 한국은 3.0%로 영국(3.5%)·미국(3.3%)에 이어 세 번째로 높았다.

독일(3.0%)이 우리나라와 같았고, 이어 캐나다(2.9%)·미국(2.8%)·프랑스(2.8%) 등의 순이었다. 일본은 2.6%, 대만이 2.3% 수준으로 집계됐다.

특히 최근 국내 체감 물가에 가장 큰 충격을 준 과일과 채소 가격 오름세는 월등한 1위였다. 우리나라 과일류의 상승률은 1∼3월 월평균 36.9%로, 2위 대만(14.7%)의 거의 2.5 배에 이르렀다. 이탈리아(11.0%), 일본(9.6%), 독일(7.4%) 등에서도 같은 기간 과일 가격이 많이 뛰었지만 10% 안팎 수준이었다.

채소류 상승률도 한국(10.7%)이 이탈리아(9.3%), 영국(7.3%) 등을 제치고 가장 높았다. 신선 과일·채소류가 단일 품목으로 발표된 미국의 상승률은 올해 월평균 1.3%에 그쳤다.

우리나라의 에너지류 인플레이션(물가 상승)도 주요국과 비교해 상대적으로 더 불안한 상황이다. 에너지 관련 항목(전기·가스요금, 연료비 등)을 노무라증권이 가중 평균해 산출한 에너지류 소비자물가 상승률의 경우, 한국이 1∼3월 월평균 1.1%로 프랑스(2.7%)에 이어 2위였다.

세계적으로 높은 식품류와 에너지류 물가 상승률은 결국 근원물가(식료품·에너지 항목 제외)와 전체 소비자물가 흐름의 괴리로 나타나고 있다.

이런 물가 구조나 흐름으로 미뤄 향후 중동사태나 이상기후 등이 길어질수록 우리나라가 그 어느 나라보다 물가 관리에 큰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저작권자 © 더파워,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주식시황
항목 현재가 전일대비
코스피 3,175.77 ▼7.46
코스닥 800.47 ▲2.77
코스피200 428.07 ▼0.35
암호화폐시황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60,223,000 ▼56,000
비트코인캐시 689,500 ▲500
이더리움 4,020,000 ▼1,000
이더리움클래식 24,840 ▲160
리플 3,780 ▲4
퀀텀 3,107 ▲21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60,265,000 ▲10,000
이더리움 4,019,000 ▼1,000
이더리움클래식 24,840 ▲160
메탈 1,058 ▲9
리스크 594 ▲4
리플 3,782 ▲6
에이다 989 ▲6
스팀 194 ▲2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60,210,000 ▼90,000
비트코인캐시 690,000 ▲1,000
이더리움 4,022,000 ▲1,000
이더리움클래식 24,740 ▲100
리플 3,784 ▲6
퀀텀 3,098 ▲15
이오타 267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