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은 “외화자산의 미국 달러 환산액 감소 등이 겹친 결과”
사진=연합뉴스(더파워뉴스=최병수 기자) 지난달 외환보유액이 60억달러 가까이 줄었다. 원·달러 환율 급등을 막기 위한 외환 당국의 안정화 노력 등의 영향이다.
한국은행이 7일 발표한 외환보유액 통계에 따르면 4월 말 기준 외환보유액은 4132억6000만달러(약 561조6000억원)로, 3월 말(4192억5000만달러)보다 59억9000만달러 감소했다.
올해 들어 외환보유액은 미국 달러화 강세로 1·2월 줄었다가 3월 석 달 만에 반등했지만, 다시 감소세로 돌아섰다.
한은 관계자는 “외환시장 안정화 노력, 분기 말 효과 소멸에 따른 금융기관 외화예수금 감소, 기타 통화 외화자산의 미국 달러 환산액 감소 등이 겹친 결과”라고 설명했다.
지난달 미국 달러화가 약 1.0% 평가 절상(가치 상승)돼 원·달러 환율이 오르면서 외환 당국이 달러를 푼 영향이다. 이 환율 변동성 완화 조치에는 국민연금과 한은 간 외환 스와프 협약에 따른 달러 공급도 포함된다.
외환보유액을 자산별로 살펴보면 예치금(188억5000만달러)이 116억9000만달러 감소했고 국제통화기금(IMF)에 대한 특별인출권인 SDR(146억4000만달러)은 6000만달러 줄었다.
하지만 국채·회사채 등 유가증권(3706억1000만달러)은 57억3000만달러 불었다.
금의 경우 시세를 반영하지 않고 매입 당시 가격으로 표시하기 때문에 전월과 같은 47억9000만달러를 유지했다.
한국의 외환보유액 규모는 3월 말 기준(4193억달러)으로 세계 9위 수준으로 평가됐다.
중국이 3조2457억달러로 가장 많았고, 일본(1조2906억달러)과 스위스(8816억달러)가 뒤를 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