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파워

2025.07.13 (일)

더파워

지난해 국민 체감실업률, 코로나 이전 수준으로 개선

메뉴

경제

지난해 국민 체감실업률, 코로나 이전 수준으로 개선

최병수 기자

기사입력 : 2024-05-16 09:49

양질의 일자리 창출을 위한 기업하기 좋은 환경 조성, 생활물가 안정 노력 필요

사진=클립아트코리아
사진=클립아트코리아
(더파워뉴스=최병수 기자) 우리나라 국민이 실업과 물가 상승 등 경제 여건에 따라 느끼는 어려움의 정도가 코로나19 이전으로 완화됐다는 분석 결과가 나왔다.

한국경제인협회(한경협)는 체감실업률과 체감물가상승률을 활용해 국민(15∼69세)이 느끼는 경제적 어려움을 뜻하는 체감경제고통지수를 산출한 결과, 지난해 12.5를 기록해 전년(15.8) 대비 3.3포인트 하락했다고 16일 밝혔다.

한경협은 지난해 국민 체감경제고통지수가 개선된 주요 원인으로 체감실업률 하락을 꼽았다.

실제로 체감실업률은 2018년 11.4%에서 2020년 13.6%로 증가해 정점을 찍은 후 2023년 9.0%를 기록, 코로나 이전 수준에 비해서도 안정되는 모습을 보였다.

체감물가상승률은 2022년 5.2%까지 급등한 후 2023년 3.5%로 둔화됐지만, 2018년부터 2020년 상승률(0~1%대)보다는 여전히 높은 수준이다.

지난해 국민 체감실업률, 코로나 이전 수준으로 개선
지난해 국민 체감실업률은 9.0%로, 코로나 이전(2018~2019년, 11%대)에 비해 낮아졌지만, 상대적으로 일자리의 질은 나빠진 것으로 나타났다.

주36시간 이상 근로자는 2,051.1만명으로 5년 전(2018년, 2,066.6만명)에 비해 0.8% 감소했으며, 주36시간 미만 근로자는 2023년 605.6만명으로 (2018년, 493.6만명)에 비해 22.7% 증가했다.

주36시간 미만 시간제근로자 중 더 많은 시간 일하기를 원하는 청년들도 늘었다. 2023년 기준 ‘시간관련 추가취업가능자’는 70.6만명으로, 5년 전(2018년 59.0만명) 대비 19.7%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현재 일자리에 만족하지 않고 부업을 병행하는 사람들도 늘었다. 부업근로자는 2018년 38.5만명에서 2023년 기준 48.1만명으로 5년 간 24.9%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국민 체감실업률, 코로나 이전 수준으로 개선
한경협은 “최근 체감실업률 감소 등 지표 상으로는 고용이 호조를 보이고 있으나, 단시간 근로자, 부업근로자 증가 등으로 고용의 질은 오히려 저하되는 모습”이라며, “전일제 일자리 증가 등 일자리의 질적 개선이 필요해 보인다”고 진단했다.

통계청이 발표한 2023년 기준 지출목적별 물가상승률을 보면, 의류․신발(6.7%), 음식․숙박(6.0%), 기타 상품 및 서비스(5.8%), 식료품(5.5%), 가정용품 및 가사서비스(5.4%) 등의 부문에서 5% 이상의 높은 수준을 보였다.

지난해 국민 체감실업률, 코로나 이전 수준으로 개선
한편, 2023년 15~69세 기준 지출목적별 소비지출 비중은 음식․숙박 15.9%, 식료품 13.2%, 주택․수도․전기․연료 11.4% 등으로, 물가 상승이 높은 부문에 국민들의 소비지출이 집중된 것으로 나타났다.

한경협은 “최근 물가상승세가 둔화되는 추세이긴 하지만, 국민들의 소비지출 비중이 높은 외식물가와 전기․수도 등 공공요금의 상승세가 높아 국민들이 체감하는 물가 부담은 여전히 큰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이상호 한경협 경제산업본부장은 “국민들이 체감하는 경제적 어려움이 코로나 이전 수준으로 완화됐지만, 고용의 질 악화, 주요 품목의 물가 상승 등 개선이 필요한 부분도 여전히 남아있다”면서, “규제 혁파, 고용경직성 해소, 세제지원 등 기업들이 투자와 고용을 확대할 수 있는 여건을 조성하고, 생활물가 안정에 매진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더파워,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주식시황
항목 현재가 전일대비
코스피 3,175.77 ▼7.46
코스닥 800.47 ▲2.77
코스피200 428.07 ▼0.35
암호화폐시황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60,801,000 ▲596,000
비트코인캐시 691,500 ▲3,000
이더리움 4,056,000 ▲20,000
이더리움클래식 25,050 ▲90
리플 3,892 ▲80
퀀텀 3,138 ▲44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60,823,000 ▲457,000
이더리움 4,053,000 ▲14,000
이더리움클래식 25,070 ▲120
메탈 1,070 ▲9
리스크 602 ▲1
리플 3,892 ▲80
에이다 1,014 ▲15
스팀 196 ▲2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60,790,000 ▲490,000
비트코인캐시 691,500 ▲2,500
이더리움 4,053,000 ▲15,000
이더리움클래식 25,070 ▲160
리플 3,890 ▲76
퀀텀 3,135 ▲20
이오타 295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