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파워뉴스=최병수 기자) 지난달 전기·가스·수도료 물가상승률이 2년 5개월 만에 가장 낮은 수준을 보였다.
올해 상반기 ‘공공요금 동결’ 기조를 유지한 물가 당국은 에너지 공기업의 재무 상황과 소비자물가에 미칠 영향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조만간 하반기 요금 인상 여부를 결정할 방침이다.
19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KOSIS)에 따르면 지난달 전기·가스·수도 물가는 작년 같은 달보다 2.7% 올랐다. 2021년 12월 1.4% 오른 이래 가장 낮은 수준이다.
품목별로 전기료가 1.6% 올라 가장 낮았고, 도시가스 물가상승률은 3.0%로 나타났다. 상수도료와 지역 난방비는 각각 3.2%, 12.1% 상승했다.
전국의 전기·가스·수도 물가 상승률은 2022년 7월(15.5%) 10%를 넘기 시작해 같은 해 10월부터 2023년 8월까지 20%대의 고공행진을 이어갔다. 올해 들어 요금이 인상되지 않자 작년 상승률이 높았던 데 대한 기저효과로 물가상승률이 낮아진 것이다.
전기요금은 전체 소비자물가상승률(1,000) 가운데 가중치가 16.1로 전기·가스·수도 품목 중에 가장 크다. 도시가스는 11.5, 지역난방비와 상수도료는 각각 1.6, 4.5다.
공공요금 인상 가능성은 하반기 물가의 변수 중 하나다. 따라서 정부가 올해 하반기 공공요금에 변화를 줄지 여부가 최대 관심사로 떠올랐다.
산업통상자원부를 중심으로 '전기·가스요금 정상화'에 대한 언급이 나오고 있지만 기획재정부는 신중한 모습이다.
공공요금 인상 자체가 국민과 기업에 미치는 파급효과가 큰 데다 자칫 최근 안정화 추세에 접어든 물가상승률에 상승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어서다.
정부 내에서는 전기요금은 동결 기조를 유지하되 가스요금부터 현실화하는 방안이 우선 거론된다.
전기는 사회 전반에 쓰이는 용처가 폭넓고 여름철 냉방 에너지 수요도 증가해 요금을 올릴 경우에 민생 부담이 클 수 있다. 도시가스 요금은 그간의 인상에도 여전히 원가에 못 미치는 가격이다.
최상목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지난 4일 물가관계장관회의서 공공기관에 공공요금을 안정적으로 관리해달라고 당부한 뒤 "공공요금은 민생과 직결된 만큼 요금 인상을 최대한 자제하고 불가피한 경우 국민이 납득할 수 있는 수준으로 인상 폭을 최소화하는 것이 국민에 대한 책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