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체 차주 수 비중 4.2% 달해...“새출발기금 등 채무재조정 적극 추진해야”
사진=연합뉴스(더파워뉴스=최병수 기자) 최근 국내 자영업자 대출 연체율이 취약 차주들을 중심으로 급등한 가운데, 회생 가능성이 없는 자영업자들에 대한 적극적인 채무 조정이 필요하다는 진단이 나왔다.
한은이 26일 발표한 금융안정보고서에 따르면 자영업자 대출 연체율은 2022년 2분기 말 0.50%에서 올해 1분기 말 1.52%로 가파르게 상승했다.
특히 자영업자 가운데 다중 채무자이면서 저소득이거나 저신용인 취약 차주의 연체율이 급등하면서 올해 1분기 말 10.21%를 기록했고, 자영업자 취약 차주 수 비중도 12.7%로 가계(6.4%)의 두 배에 가까웠다.
한은은 전체 자영업자 대출 가운데 개인사업자 대출을 보유한 차주의 가계대출을 뺀 순수 개인사업자 대출 연체율도 과거 금리 상승기와 비교해 상승세가 가파른 편이라고 평가했다.
서평석 한은 금융안정기획부장은 "금융시스템에서 가장 취약한 부분 중 하나가 자영업자"라며 "현재 연체율 수준이 아주 높지는 않지만, 상승 속도가 빠른 것으로 평가된다"고 말했다.
한은은 가계·자영업자 모두 최근의 연체율 상승세는 평균 연체액보다는 연체차주 수 증가에 기인했다고 진단했다.
올해 1분기 말 가계 및 자영업자 연체차주의 1인당 평균 연체액은 2022년 2분기 말 2700만원에서 올해 1분기 말 3400만원으로, 자영업자는 1억400만원에서 1억2200만원으로 각각 늘어나는 데 그쳤다.
같은 기간 연체 차주 수 비중은 가계가 1.72%에서 2.31%로, 자영업자가 1.57%에서 4.20%로 크게 뛰었다.
한은은 “당분간 자영업자를 중심으로 연체율 상승 압력이 지속될 것으로 보이는 만큼 금융당국은 채무 상환 능력이 크게 떨어졌거나 회생 가능성이 없는 자영업자에 대한 채무 재조정을 적극적으로 추진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