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파워

2025.07.13 (일)

더파워

국내 유행 5형 일본뇌염바이러스, 치명율 높고 기존 백신 무효...새로운 백신 개발 필요

메뉴

정치사회

국내 유행 5형 일본뇌염바이러스, 치명율 높고 기존 백신 무효...새로운 백신 개발 필요

이경호 기자

기사입력 : 2024-08-05 13:53

가톨릭중앙의료원, 국내 유행 5형 일본뇌염바이러스 특성 발표

(왼쪽)서상욱교수(오른쪽)이아라박사
(왼쪽)서상욱교수(오른쪽)이아라박사
(더파워뉴스=이경호 기자) 가톨릭대학교 가톨릭중앙의료원 기초의학사업추진단 서상욱 교수(교신저자,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미생물학교실)와 이아라 박사(제1저자) 연구팀이 국내에서 유행하고 있는 5형 일본뇌염바이러스의 특성을 분석한 결과, 기존 3형 일본뇌염바이러스보다 높은 치명율을 보이며, 현재 개발된 백신으로는 효과적인 방어가 불가능하다는 것을 확인했다.

이번 연구로 5형 일본뇌염바이러스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새로운 백신 개발에 중요한 기반을 마련할 것으로 기대된다.

5형 일본뇌염바이러스는 2010년부터 한국에서만 보고되고 있는 신종 바이러스다. 아직 다른 나라에서는 보고되지 않았지만, 과거 말레이시아와 중국에서 분리된 바이러스와 유사한 것으로 확인되어 주변 일본뇌염 유행 국가들로부터도 주의가 집중되고 있다.

그림설명:동물모델을이용한실험을통해국내에서분리된5형일본뇌염바이러스가국외유행주에비해고병원성임을밝혔다.5형일본뇌염바이러스는항원성의차이로현재접종가능한백신의효능이낮은것으로알려졌다.
그림설명:동물모델을이용한실험을통해국내에서분리된5형일본뇌염바이러스가국외유행주에비해고병원성임을밝혔다.5형일본뇌염바이러스는항원성의차이로현재접종가능한백신의효능이낮은것으로알려졌다.
서 교수 연구팀은 질병관리청 국가병원체자원은행에서 분양받은 국내 분리주를 이용해 동물 모델을 통해 5형 일본뇌염바이러스의 특성을 분석했다.

연구 결과, 2015년 일본뇌염 환자에서 분리된 NCCP 43279 바이러스는 3형 일본뇌염바이러스에 비해 높은 치명율을 나타냈다.

또한, 표면 단백질의 차이로 인해 현재 개발된 일본뇌염 백신으로는 5형 일본뇌염바이러스를 효과적으로 방어할 수 없는 것으로 확인됐다.

서상욱 교수는 “2010년 이후 국내 일본뇌염 환자 수가 증가하고 있는 상황에서, 5형 일본뇌염바이러스를 포함한 다양한 유형의 일본뇌염바이러스에 대한 지속적인 분리 및 연구가 필요하다”며 “이번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5형 일본뇌염바이러스를 대상으로 한 새로운 백신 개발이 시급하다”고 밝혔다.

한편, 이번 연구는 가톨릭중앙의료원 기초의학사업추진단의 지원을 받았으며, 신종 미생물 및 감염 국제 학술지에 온라인 게재됐다.

<저작권자 © 더파워,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주식시황
항목 현재가 전일대비
코스피 3,175.77 ▼7.46
코스닥 800.47 ▲2.77
코스피200 428.07 ▼0.35
암호화폐시황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60,098,000 ▲73,000
비트코인캐시 686,000 ▼1,500
이더리움 4,012,000 ▼3,000
이더리움클래식 24,810 ▼10
리플 3,790 ▼20
퀀텀 3,102 0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60,042,000 ▼3,000
이더리움 4,010,000 ▼3,000
이더리움클래식 24,800 ▼10
메탈 1,060 ▲1
리스크 595 ▼1
리플 3,789 ▼18
에이다 999 ▼9
스팀 194 ▼1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60,150,000 ▲150,000
비트코인캐시 686,000 ▼1,500
이더리움 4,009,000 ▼7,000
이더리움클래식 24,870 ▲110
리플 3,789 ▼27
퀀텀 3,123 ▲23
이오타 276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