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파워뉴스=이강율 기자) 전주시가 혼란한 정국 속에서도 2년 연속으로 2조 원대 국가 예산을 확보하면서 새로운 전주를 만들 추진동력을 얻게 됐다.
시는 2025년도 국가 예산으로 올해 당초 예산인 2조 1017억 원보다 568억 원(2.7%) 늘어난 2조 1585억 원을 확보했다고 12일 밝혔다.
이는 정부의 △계속되는 건전재정 기조로 인한 증액 및 신규사업 억제 △복잡한 정치 상황 속 국회의 정부예산 감액 의결 등으로 지자체의 증액 요청 사업들이 하나도 반영되지 못한 상황 등 그 어느 때보다 불리한 여건 속에서 이뤄낸 성과물이다.
분야별로는 △광역·도시 분야 4893억 원 △경제·산업 분야 6462억 원△문화·관광 분야 1397억 원 △복지·사회안전망 분야 8832억 원을 확보했다.
특히 시는 노후거점산단 경쟁력 강화 및 전주천(국가하천 승격구간) 정비 등 대규모 사업과 2025 전주드론축구 월드컵 개최 등 신규사업 예산을 확보하며 광역도시 인프라 구축과 미래 신산업을 선도하는 강한 경제도시로의 도약 등 새로운 전주를 만들어 갈 단단한 기틀을 다질 수 있게 됐다.
이들 신규사업의 경우 사업 첫해인 내년도 국비 확보액은 481억 원에 불과하지만 향후 연차적으로 총 6247억 원의 국비가 투입될 예정이어서 전주가 100만 광역도시, 강한 경제 도시로 변화할 수 있는 든든한 기초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내년도 예산을 분야별로 살펴보면 먼저 지역상생 광역도시 생활권 및 사회구조·환경변화 대응을 위한 사업으로 △전주천(국가하천 승격구간) 정비(20억 원) △노후거점산단 경쟁력 강화(102억 원) △교육발전 특구 시범지역 지정(30억 원) 등의 신규 예산을 확보하며 지속가능한 미래도시 인프라 확충을 도모할 수 있게 됐다. 또, △전주역사 개선(80억 원) △육상경기장 건립(27억 원) △기린대로 BRT 구축(100억 원) 등 지방시대 새로운 메가도시 기반 구축을 위한 계속사업비도 확보했다.
또한 시는 △드론축구월드컵 글로벌 확산을 위한 ‘2025 전주드론축구월드컵’(30억 원) △다양한 품질 인증을 통해 제품 신뢰성 확보 및 경쟁력 강화를 위한 ‘탄소제품 표준·인증 토탈 솔루션 기반구축’(5억 원) △탄소소재 기반 의료기기 산업 기술개발을 지원할 ‘글로벌 혁신의료기술 실증지원센터’(12억 원) 등의 신규 예산을 확보해 미래 먹거리인 드론·탄소·바이오산업 고도화를 통한 차세대 신성장산업 육성 동력도 확보했다.
이와 함께 시는 후백제 유적을 통해 천년왕도의 영광을 되살리는 국립후백제 역사문화센터의 부지가 전주로 최종 확정돼 명실공히 후백제의 수도로 인정받는 등 체류형 문화관광의 기반을 만들었으며, 남부권에 이어 동부권(건지) 국민체육센터 건립(7억 원) 예산도 확보하며 공공 체육시설 균형 배치로 체육복지 사각지대를 해소하게 됐다.
여기에 시는 △관광거점도시 육성사업(171억 원) △K-Film 제작기반 및 영상산업 허브구축(35억 원) △음식관광 창조타운 건립(10억 원) △K-한지마을 조성(1억 원) 등 관광 산업 육성을 위한 계속사업 예산도 꼼꼼히 챙겼다.
끝으로 시는 사회전체의 연대로 모두가 어울려 돌봄 받고 배려하는 인프라 구축을 위한 △전북권역 재활병원 건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