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가계·기업·정부부채를 모두 합친 ‘국가총부채’ 규모가 지난해 3분기 기준 6,200조원을 돌파하며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다. 특히 정부부채의 증가율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국제결제은행(BIS)이 20일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2023년 3분기 말 기준 한국의 비금융부문 신용은 원화 기준 6,222조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전년 동기 대비 약 250조원(4.1%), 전 분기 대비 약 55조원(0.9%) 증가한 수치다.
지난해 3분기 말 기준 기업부채는 2,798조원으로 가장 많았고, 가계부채는 2,283조원, 정부부채는 1,141조원으로 나타났다. 특히 정부부채의 증가세가 두드러졌으며, 2023년 3분기 말 1,020조원에서 1년 만에 1,141조원으로 약 120조원(11.8%) 증가했다. 같은 기간 기업부채는 약 80조원(2.9%), 가계부채는 약 46조원(2.1%) 증가했다.
국가총부채 규모는 코로나19 팬데믹이 한창이던 2021년 1분기 말 5,000조원을 처음 넘어선 이후 지속적인 증가세를 보였다. 이후 2023년 4분기 말에는 6,000조원을 돌파하며 새로운 기록을 세웠다.
한편, 국내총생산(GDP) 대비 총부채 비율은 다소 하락하는 추세다. 2023년 3분기 말 GDP 대비 총부채 비율은 247.2%로, 2021년 2분기 말(247.0%) 이후 가장 낮은 수준을 기록했다. 해당 비율은 2023년 2분기 말(252.9%)을 정점으로 하락세를 보이며 5분기 연속 감소했다.
부문별로는 기업부채 비율이 2023년 3분기 말 114.7%에서 지난해 3분기 말 111.1%로 하락했으며, 가계부채 비율도 같은 기간 94.5%에서 90.7%로 4분기 연속 감소했다. 이는 2020년 1분기 말(90.0%) 이후 최저 수준이다.
반면, 정부부채 비율은 비교적 뚜렷한 하락세를 보이지 않았다. 2022년 4분기 말 41.5%에서 2023년 1분기 말 44.1%로 상승한 뒤, 지난해 1분기와 2분기 말 각각 45.4%, 3분기 말 45.3% 수준을 유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