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파워

2025.07.10 (목)

더파워

국내 부실기업 2019년 이후 최대… 경기회복 지연에 고금리까지 '이중고'

메뉴

경제

국내 부실기업 2019년 이후 최대… 경기회복 지연에 고금리까지 '이중고'

최병수 기자

기사입력 : 2025-03-24 13:42

부실리스크 완화 위한 자금조달 금리 인하, 사업재편 저해하는 상법개정 재논의 필요

사진=연합뉴스
사진=연합뉴스
경기회복 지연과 고금리 환경이 지속되면서 국내 기업들의 수익성이 악화되고, 이에 따라 부실기업 수가 크게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경제인협회(한경협)는 최근 발간한 '기업부실예측분석을 통한 2024년 부실기업 진단' 보고서를 통해 이같이 밝혔다.

한경협이 기업부실확률예측 분석을 바탕으로 내린 진단에 따르면, 2024년 전체 외감기업(금융업 제외) 37,510개사 중 11.9%인 4,466개사가 완전자본잠식 상태에 빠질 것으로 예상됐다.

이는 지난해 부실기업 4,350개사보다 116개사(2.7%) 증가한 수치이며, 코로나 팬데믹 이전인 2019년부터 최근 6년 간 가장 높은 수치다.

또한 외감기업들의 평균 부실확률 역시 지속 상승하고 있다. 2019년 5.7%에서 단계적으로 증가해 2024년에는 8.2%까지 오를 전망으로, 이 또한 최근 6년 중 최고 수준이다.

특히 부동산 및 임대업의 부실확률이 24.1%로 가장 높았다. 이어 전기․가스, 증기 및 수도사업이 15.7%, 보건 및 사회복지 서비스업이 14.2%, 예술․스포츠․여가 서비스업이 14.0% 순으로 뒤를 이었다.

부실확률이 가장 빠르게 상승한 업종은 건설업으로 나타났다. 건설업의 부실확률은 2019년 3.3%에서 2024년에는 6.1%까지 급등했다.

한경협은 건설 수주 부진과 지난해 3분기까지 지속된 고금리 환경, 부동산 프로젝트 파이낸싱(PF)의 부실화 등을 주요 원인으로 꼽았다. 이로 인해 건설업은 생산 감소와 투자 위축 등으로 업황 악화가 장기화될 것으로 우려되고 있다.

한경협 이상호 경제산업본부장은 "부실기업 증가가 실물경제 악화와 금융시장 리스크 확대로 이어져 경제 전반의 불확실성을 가중시킨다"며 "자금조달 비용 완화와 유동성 지원을 통해 기업의 부실 위험을 줄이고, 원활한 사업재편을 저해하는 상법개정안은 국회에서 재논의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더파워,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주식시황
항목 현재가 전일대비
코스피 3,168.15 ▲34.41
코스닥 796.57 ▲6.21
코스피200 426.34 ▲4.32
암호화폐시황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50,978,000 ▲176,000
비트코인캐시 695,500 ▲3,000
이더리움 3,774,000 ▲9,000
이더리움클래식 24,020 ▲70
리플 3,296 ▲4
퀀텀 2,864 ▼15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50,994,000 ▲291,000
이더리움 3,777,000 ▲11,000
이더리움클래식 24,030 ▲90
메탈 970 ▼0
리스크 546 ▼2
리플 3,297 ▲8
에이다 847 ▲3
스팀 183 ▲1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51,100,000 ▲240,000
비트코인캐시 695,000 ▲1,500
이더리움 3,776,000 ▲7,000
이더리움클래식 24,040 ▲80
리플 3,299 ▲7
퀀텀 2,862 ▼8
이오타 235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