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파워

2025.07.10 (목)

더파워

[에코프로 ESG ②] ‘2050 탄소중립’ 현실로…기술과 전략으로 만든 기후경영

메뉴

ESG·지속가능경영

[에코프로 ESG ②] ‘2050 탄소중립’ 현실로…기술과 전략으로 만든 기후경영

이경호 기자

기사입력 : 2025-04-02 14:12

“기후 위기, 기술로 대응한다.”

에코프로는 말뿐인 ESG가 아니라 실천 가능한 청사진을 제시한다. 온실가스 감축 목표 설정에서부터 실행을 위한 기술 확보, 그리고 그룹 전체가 참여하는 통합 기후 리스크 관리체계까지. ‘탄소중립’은 먼 미래의 선언이 아니라, 에코프로의 오늘과 내일을 관통하는 실천 전략이다.

에코프로는 2030년까지 온실가스 40% 감축, 그리고 2050년 탄소중립 달성이라는 명확한 목표를 제시했다. 이를 위해 글로벌 기준인 SBTi(과학기반 감축목표 이니셔티브)의 1.5℃ 시나리오를 기준으로 삼고, 연도별 감축 목표 경계를 설정했다.

SBTi감축목표설정결과
SBTi감축목표설정결과
TCFD 기준 기반, 전 그룹사 기후 리스크 관리체계 구축

에코프로는 기후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글로벌 공시 기준인 TCFD(Task Force on Climate-Related Financial Disclosures) 가이드라인을 준수해, 이사회 중심의 ESG 거버넌스를 설계했다.

이사회 산하에는 ESG위원회를 신설하고, 사내외 이사들이 기후 리스크에 대한 전략, 리스크 관리, 목표 및 지표 등을 심의하고 있다.

특히 전사 통합 리스크 관리체계를 통해 온실가스 배출량, 에너지 사용량, 규제 미준수, 환경 부정적 자원 배출 등 총 15가지 주요 리스크 항목을 항시 모니터링하며, 재무·비재무적 측면에서 기업과 사회에 미칠 영향을 분석해 선제적으로 대응하고 있다.

감축 위한 9대 실천 전략…CCU부터 폐플라스틱 열분해까지

2030년까지의 감축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에코프로는 9가지 세부 감축 전략을 마련했다.

대표적으로 이산화탄소 포집 및 활용(CCU) 기술 개발이 있다.

국책연구원으로부터 이전 받은 이산화탄소 흡수소재 기술과 자체 기술을 융합해, 대기 및 해양에서 CO₂를 포집한 뒤 이를 고부가가치 제품으로 전환하는 기술 상용화를 추진 중이다.

또한 급증하는 폐플라스틱 문제에 대응해 폐플라스틱 열분해 기술을 개발, 이를 통해 얻은 열분해유 및 나프타를 석유화학 원료로 재활용하고 있다. 이는 순환경제 실현과 동시에 온실가스 다배출 산업인 석유화학 업계의 탄소저감에도 기여할 수 있다.

공급망까지 넓힌 기후 대응 전략…REC, PPA, 북미 에너지 선별 운영

에코프로는 국내·유럽·북미 등 지역별 에너지 특성에 맞춘 신재생에너지 확보 전략도 병행하고 있다.

△국내·유럽: 신재생에너지 공급인증서(REC) 및 전력구매계약(PPA)을 통한 재생에너지 도입

△북미: 신재생에너지가 안정적으로 공급 가능한 지역을 우선 선정해 사업장 배치

향후에는 에너지 시장 변화에 따른 신규 방안도 지속 발굴해 신재생 에너지 비중을 점진적으로 확대해 나갈 방침이다.

탄소발자국 인증…숫자로 증명한 감축 성과

에코프로는 자사가 생산하는 양극재 주요 2종 제품에 대해 영국 카본트러스트(Carbon Trust)의 탄소발자국 인증을 획득했다. 이는 제품의 전과정(원료 채취 → 생산 → 운송 → 사용)에 걸쳐 발생하는 온실가스를 정량화해 인증받는 절차로, ESG 경영의 실질적 성과를 외부 인증으로 입증한 사례다. 향후에는 인증 범위를 모든 양극재 제품으로 확대할 예정이다.

◆ 에코프로의 기후 전략, 산업 전체의 패러다임 바꾼다

에코프로의 기후경영 전략은 단순히 ‘감축’에 그치지 않는다. △기술혁신을 기반으로 한 실행력 있는 전략, △이사회 중심의 전사 통합 거버넌스 체계, △공급망·협력사까지 확장된 책임 있는 에너지 관리 구조 등 이러한 요소는 에코프로의 ESG 성과를 ‘보고서상의 문구’가 아닌, 실제 시장에서 검증 가능한 경쟁력의 원천으로 만들어주고 있다.

<저작권자 © 더파워,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주식시황
항목 현재가 전일대비
코스피 3,175.88 ▲42.14
코스닥 798.00 ▲7.64
코스피200 427.60 ▲5.58
암호화폐시황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50,837,000 ▲6,000
비트코인캐시 693,500 ▲500
이더리움 3,771,000 ▲5,000
이더리움클래식 24,000 ▲70
리플 3,288 ▲4
퀀텀 2,868 ▼3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50,992,000 ▲50,000
이더리움 3,774,000 ▲7,000
이더리움클래식 24,030 ▲90
메탈 968 ▼1
리스크 547 ▼2
리플 3,290 ▲5
에이다 846 ▲4
스팀 183 ▲1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50,920,000 ▼90,000
비트코인캐시 695,000 ▲2,000
이더리움 3,776,000 ▲11,000
이더리움클래식 24,070 ▲130
리플 3,291 ▲6
퀀텀 2,862 ▼8
이오타 236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