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파워

2025.07.10 (목)

더파워

이달부터 무·저해지 보험료 최대 33% 인상…금융당국 가이드라인 적용 영향

메뉴

경제

이달부터 무·저해지 보험료 최대 33% 인상…금융당국 가이드라인 적용 영향

최병수 기자

기사입력 : 2025-04-10 10:26

사진=연합뉴스
사진=연합뉴스
금융당국의 해지율 가이드라인이 이달부터 본격 적용되면서 보험사들이 판매하는 무·저해지 보험의 보험료가 최대 30% 이상 급등한 것으로 나타났다.

10일 보험업계에 따르면 현대해상, 삼성화재, DB손해보험, KB손해보험, 메리츠화재 등 주요 손해보험사들은 이달부터 무·저해지 보험 상품의 보험료를 일제히 인상했다. 상품에 따라 최소 1%에서 최대 33%까지 보험료가 오른 것으로 집계됐다.

무·저해지 보험은 납입 기간 중 해지 시 환급금이 없거나 적은 대신, 일반 보험 상품에 비해 보험료가 저렴한 것이 특징이다. 그러나 새 국제회계기준(IFRS17)이 도입된 이후 보험사들이 이 상품의 해지율을 자의적으로 높게 설정해 실적을 부풀렸다는 지적이 제기되면서, 금융당국은 지난해 보험개혁회의를 통해 계리적 가정 가이드라인을 마련했다. 해당 가이드라인은 이달부터 상품 설계에 반영되고 있다.

가이드라인이 적용되자 보험사들은 수익성과 리스크를 고려해 보험료를 조정했고, 그 결과 보험사 및 상품별로 인상 폭에 상당한 차이를 보였다.

50~60대 남성을 기준으로 한 간편심사보험 대표 상품 2종의 보험료는 현대해상이 평균 7.8% 올렸고, 삼성화재(6.3%), KB손보(5.0%), DB손보(4.1%), 메리츠화재(1%) 순으로 인상했다. 같은 상품의 여성 보험료는 DB손보가 7.6%, 현대해상 6.1%, 삼성화재 5.1%, KB손보 4.4%씩 올렸으며, 메리츠화재는 이례적으로 10% 인하했다.

40대 남성 기준 통합보험의 보험료는 KB손보가 전월 대비 32.7%로 가장 큰 인상률을 보였고, 삼성화재(16.9%), DB손보(16.0%), 메리츠화재(7.7%), 현대해상(3.4%) 등이 뒤를 이었다.

어린이보험도 예외는 아니었다. 10세 남아를 기준으로 보험료 인상률은 삼성화재(27.9%), DB손보(27.7%), KB손보(25.0%), 현대해상(16.4%), 메리츠화재(4.1%) 순으로 나타났다. 여아 보험료도 삼성화재가 29.4%로 가장 많이 올랐고, DB손보(27.5%), KB손보(24.9%), 현대해상(20.4%), 메리츠화재(13.3%) 순이었다.

보험업계는 과거 해지율을 지나치게 낙관적으로 가정했던 보험사일수록 이번 인상폭이 컸을 것으로 보고 있다. 한 보험사 관계자는 “가이드라인 적용으로 보험료 인상 부담이 커졌고, 그 영향이 고스란히 상품에 반영됐다”며 “보수적으로 가정을 설정해온 일부 보험사는 오히려 보험료를 인하하기도 했다”고 설명했다.

업계는 이번 조치로 인해 무·저해지 보험 시장의 출혈 경쟁이 완화되고, 보험사들의 재무 건전성 개선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GA(법인보험대리점)업계 관계자는 “가격 중심의 설계가 이뤄지는 GA 시장에서는 가격 경쟁력이 있는 보험사나 상품으로 수요가 집중될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더파워,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주식시황
항목 현재가 전일대비
코스피 3,156.69 ▲22.95
코스닥 795.36 ▲5.00
코스피200 424.46 ▲2.44
암호화폐시황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50,472,000 ▼443,000
비트코인캐시 695,000 ▼3,000
이더리움 3,749,000 ▼8,000
이더리움클래식 23,800 ▼190
리플 3,265 ▼9
퀀텀 2,847 ▼24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50,300,000 ▼670,000
이더리움 3,748,000 ▼10,000
이더리움클래식 23,800 ▼180
메탈 963 ▼12
리스크 551 ▼3
리플 3,264 ▼11
에이다 840 ▼8
스팀 182 ▼1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50,470,000 ▼530,000
비트코인캐시 694,500 ▼4,500
이더리움 3,748,000 ▼9,000
이더리움클래식 23,800 ▼180
리플 3,265 ▼10
퀀텀 2,848 ▼12
이오타 232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