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파워

2025.07.10 (목)

더파워

고령층 고용률 'OECD 1위'…그러나 절반은 단순노무직, 연금 부족이 재취업 내몬다

메뉴

경제

고령층 고용률 'OECD 1위'…그러나 절반은 단순노무직, 연금 부족이 재취업 내몬다

최병수 기자

기사입력 : 2025-05-27 09:15

월평균 연금소득 80만원…최저 생계비에도 못 미쳐 재취업 불가피

사진=연합뉴스
사진=연합뉴스
한국의 65세 이상 고용률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중 가장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지만, 고령층이 종사하는 일자리의 질은 여전히 열악하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생계비에도 못 미치는 연금 소득을 보완하기 위해 재취업에 나서지만, 경력과 무관한 단순노동에 종사하는 '경력 단절' 현상이 고령층의 삶의 질을 떨어뜨리고 있다는 분석이다.

27일 국회예산정책처가 발간한 ‘인구·고용동향 & 이슈’ 보고서에 따르면, 2023년 기준 우리나라 65세 이상 인구의 고용률은 37.3%로 OECD 국가 중 가장 높았다. OECD 평균(13.6%)은 물론 대표적 고령국가인 일본(25.3%)보다도 10%포인트 이상 높은 수치다.

보고서는 우리나라 고령층이 낮은 연금 수령액을 보전하기 위해 노동시장에 머물거나 다시 진입하는 구조라고 분석했다. 실제 65세 이상 연금 수급자의 월평균 연금소득은 약 80만 원으로, 2024년 기준 1인 가구 최저 생계비인 134만 원에 크게 못 미친다. 이로 인해 상당수 은퇴 노인들이 생계를 위해 재취업을 선택할 수밖에 없는 현실에 놓여 있다.

그러나 고용률과 달리 고령층이 실제로 일하는 일자리의 질은 뚜렷이 낮았다. 보고서에 따르면 65세 이상 임금근로자 중 61.2%가 비정규직이며, 절반에 가까운 49.4%는 10인 미만의 영세 사업체에서 근무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업 유형별로는 단순 노무직 비중이 35.4%로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기계조작원(15.0%)이 뒤를 이었다. 이 같은 고용 구조는 고령층의 재취업이 과거 직무 경험이나 전문성과 연결되지 못하고 저숙련, 저임금 직무로 이어지는 '경력 단절' 현상을 반영한다.

임금 수준에서도 격차가 뚜렷하다. 정년 직전인 50대 후반 임금근로자의 월평균 임금은 350만9천 원이었지만, 60대 초반 재취업자의 평균 임금은 278만9천 원으로 20.5% 낮았다.

보고서는 특히 생애 주된 일자리와의 단절이 이러한 일자리 질 하락의 주된 원인이라고 분석했다. 생애 주된 직장을 떠난 뒤 재취업한 65세 이상 근로자 중 현재 직장이 과거 직무와 ‘전혀’ 또는 ‘별로’ 관련이 없다고 응답한 비율은 53.2%에 달했다.

국회예산정책처는 “은퇴 이후에도 근로 의지가 높은 고령층이 생애 주된 일자리 또는 그와 관련된 분야에서 더 오래 일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이 필요하다”며 “이러한 접근은 노후 소득 공백 해소뿐 아니라 인적 자본의 효율적 활용 측면에서도 의미가 있다”고 강조했다.

이어 “경력 단절로 인한 일자리 미스매치를 줄이기 위한 맞춤형 재취업 지원책 마련과 함께 고령층이 경험과 역량을 살릴 수 있는 고용 환경 조성이 시급하다”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더파워,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주식시황
항목 현재가 전일대비
코스피 3,165.47 ▲31.73
코스닥 795.40 ▲5.04
코스피200 426.04 ▲4.02
암호화폐시황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50,854,000 ▼89,000
비트코인캐시 693,000 ▼3,500
이더리움 3,770,000 ▼4,000
이더리움클래식 23,960 ▼20
리플 3,288 ▼5
퀀텀 2,879 ▲1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50,812,000 ▼76,000
이더리움 3,767,000 ▼6,000
이더리움클래식 23,920 ▼40
메탈 970 ▼0
리스크 549 ▼7
리플 3,286 ▼8
에이다 844 ▼3
스팀 183 0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50,870,000 ▼140,000
비트코인캐시 693,500 ▼2,000
이더리움 3,770,000 ▼7,000
이더리움클래식 24,010 ▲10
리플 3,292 ▼1
퀀텀 2,870 ▲22
이오타 235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