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파워

2025.07.10 (목)

더파워

기업 체감경기 2년 만에 최대폭 개선…“여전히 낙관은 일러”

메뉴

경제

기업 체감경기 2년 만에 최대폭 개선…“여전히 낙관은 일러”

최병수 기자

기사입력 : 2025-05-28 09:47

한은 "관세 유예는 단기 호재…개선세 이어질지 지켜봐야"

사진=연합뉴스
사진=연합뉴스
5월 기업 체감경기가 미국의 관세 유예 조치와 비제조업 업황 개선 등의 영향으로 큰 폭 상승했다. 제조업과 비제조업 모두에서 체감경기 회복 흐름이 나타났지만, 지수 수준은 여전히 장기 평균을 밑돌며 기업들의 전반적인 경기 인식은 여전히 '비관적' 수준에 머무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8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2025년 5월 기업경기조사 결과 및 경제심리지수(ESI)’에 따르면, 이달 전 산업 기업심리지수(CBSI)는 90.7로 전월 대비 2.8포인트 상승했다. 이는 코로나19 비상사태가 해제됐던 2023년 5월(4.4포인트 상승) 이후 가장 큰 상승 폭이며, 지난해 11월(91.8) 이후 최고치다. CBSI는 올해 2월 85.3으로 저점을 찍은 이후 3개월 연속 상승세다.

CBSI는 기업경기실사지수(BSI) 중 주요 지수를 바탕으로 산출한 경기 심리지표로, 기준선인 100을 웃돌면 낙관적, 밑돌면 비관적으로 해석된다. 이번 90.7 수준은 여전히 장기평균(2003~2024년) 이하로, 경기 회복에 대한 기업들의 확신이 부족함을 시사한다.

이혜영 한국은행 경제심리조사팀장은 “관세 유예 등 긍정 요인으로 지수가 오르긴 했지만, 수출 실적이 반도체와 선박을 제외하면 대체로 부진한 데다 관세 유예 자체도 단기 호재에 그칠 가능성이 있어 낙관적으로 보기엔 이르다”고 밝혔다.

산업별로는 제조업 CBSI가 94.7로 전월 대비 1.6포인트 상승해 지난해 7월(96.0)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다. 주요 개선 업종은 석유정제·코크스(+21p), 비금속 광물(+9p), 화학물질·제품(+8p) 등으로, 유가 하락에 따른 정제마진 회복과 미·중 관세 유예에 따른 대중 수출 증가, 계절적 건설 수요 증가 등이 반영됐다.

비제조업 CBSI는 88.1로 전월보다 3.6포인트 상승하며 2023년 5월 이후 가장 큰 상승 폭을 기록했다. 부동산업(+12p), 운수창고업(+4p), 전문·과학 및 기술서비스업(+4p) 등에서 업황이 개선됐다. 특히 부동산 업황은 임대계약 증가와 예정된 분양 진행에 힘입어 회복세를 보였다. 운수창고업도 중국발 미주행 물동량 증가와 운임 상승이 긍정적으로 작용했다.

6월 CBSI 전망치는 전 산업 기준 89.5로 3.2포인트 상승할 것으로 나타났다. 제조업은 93.1(+3.1p), 비제조업은 87.1(+3.3p)로 모두 상승 전망을 보였다. 제조업은 전자·영상·통신장비, 화학물질·제품, 석유정제·코크스 등이 실적 개선을 이끌 것으로 예측됐으며, 비제조업에선 건설업, 정보통신업, 전문·과학 및 기술서비스업의 개선이 기대된다.

한편 기업경기실사지수(BSI)와 소비자동향지수(CSI)를 합산한 경제심리지수(ESI)는 92.2로 전월보다 4.7포인트 상승했다. 하지만 계절적 요인을 제거한 ESI 순환변동치는 88.1로 전월보다 0.2포인트 하락해, 체감경기 개선에도 불구하고 기조적인 경기 회복 추세는 미약하다는 평가다.

이번 조사는 5월 13일부터 20일까지 전국 3,524개 법인 기업을 대상으로 진행됐으며, 이 중 3,297개 기업(제조업 1,852개, 비제조업 1,445개)이 응답했다.

<저작권자 © 더파워,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주식시황
항목 현재가 전일대비
코스피 3,165.76 ▲32.02
코스닥 796.15 ▲5.79
코스피200 426.04 ▲4.02
암호화폐시황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50,942,000 ▲115,000
비트코인캐시 695,000 ▲1,000
이더리움 3,772,000 ▲2,000
이더리움클래식 23,980 ▲10
리플 3,296 ▼2
퀀텀 2,867 ▼16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50,999,000 ▲164,000
이더리움 3,775,000 ▲6,000
이더리움클래식 23,990 ▲50
메탈 969 ▼3
리스크 545 ▼1
리플 3,297 ▲1
에이다 845 0
스팀 182 ▼0
암호화폐 현재가 기준대비
비트코인 151,060,000 ▲120,000
비트코인캐시 695,000 ▲500
이더리움 3,771,000 ▲1,000
이더리움클래식 23,990 ▲30
리플 3,299 ▼1
퀀텀 2,796 ▼74
이오타 235 0
모바일화면 이동